압도적 ‘여대야소’ 국회 지형…‘협치’ 중요성 더 커져
김문수와 격차 8.27%p…朴탄핵 후 대선 당시 17.05%p보다↓
이재명 “국민통합, 대통령의 책임…우리 모두 위대한 대한국민”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당선이 확실시된 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인근에서 당 주최로 열린 국민개표방송 행사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 [공동취재, 연합]
[헤럴드경제=정윤희 기자] 민심은 매서웠다. 온 나라를 뒤흔든 비상계엄과 이후 이어진 국정 혼란을 쉽게 용서하지 않았다. 드러난 표심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에게 과반에 가까운 49.42%의 표를 몰아주며 3년 만의 정권 교체를 선택했다. 다만, 이번 대선 결과에는 새 대통령에게 갈등과 반목을 털어내고 ‘협치’와 ‘국민통합’을 국정운영의 중심에 둬 달라는 요구도 담겼다는 평가다.
이재명 대통령 당선인은 4일 오전 취임 선서를 하고 곧바로 대통령으로서의 업무에 돌입한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치러진 조기 대선인 만큼, 신임 대통령은 인수위원회 기간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임기를 시작한다.
이제 이 당선인은 탄핵 정국의 혼란을 수습하고 국정 안정, 경제 회복, 외교·안보 등의 복합 위기를 풀어야 하는 중책을 안게 됐다. 무엇보다 비상계엄과 탄핵 정국에서 양극단으로 분열된 국민을 통합하고 대화와 타협을 통한 협치를 펼쳐야 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다.
이 당선인은 유례없는 규모의 여대야소로 상당히 유리한 국회 지형을 등에 업게 됐다. 이를 기반으로 국무위원 인사청문회뿐만 아니라 윤 전 대통령이 거부권(재의요구권)을 행사했던 다수의 입법 과제도 무난하게 추진할 수 있다. 현재 민주당 의석수는 171석으로, 조국혁신당 등을 포함한 범여권 전체 의석수는 190석을 넘는다.
그럴수록 ‘협치’의 중요성이 크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가깝게는 윤 전 대통령의 사례가 반면교사가 될 수 있다. 윤 전 대통령은 취임 후 720일 동안이나 당시 야당 대표였던 이 당선인과 만나지 않았다. 여소야대의 국회 지형 속에서 야당의 협조가 필수적이었음에도 적대적 태도를 버리지 못한 것이다. 결국 22대 총선에서 국민의힘이 참패한 뒤인 지난해 4월29일에야 비로소 처음이자 마지막 영수회담이 성사됐지만, 간극을 좁히지 못하고 갈등은 더욱 격화됐다.
이러한 ‘불통’이 끝내 12·3 계엄 사태를 불렀다는 분석이다. 이후 탄핵 심판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지지층만을 향한 메시지를 내거나 부정선거론을 펴는 등 국민통합의 책임이 있는 대통령이 오히려 국민 분열을 불렀다는 비판도 나온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당선이 확실시 된 후 부인 김혜경 여사와 서울 여의도 국회 인근에서 당 주최로 열린 국민개표방송 행사에 참석해 시민들을 향해 두 팔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공동취재, 연합]
여대야소만 믿고 민주당의 ‘입법 독주’가 이어질 경우 민심의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지난 2004년 17대 총선 당시 노무현 대통령 탄핵 후폭풍으로 열린우리당이 152석을 차지하며 직선제 개헌 이후 처음으로 여대야소가 펼쳐졌지만, 이후 한나라당이 정권 탈환에 성공했다. 또, 박근혜 대통령은 여대야소 국면에서 임기를 시작했으나, 임기 도중 치러진 2016년 20대 총선에서 새누리당이 민주당에 밀려 제2당으로 내려앉았고 이는 결국 2016년 탄핵으로 이어졌다. 문재인 대통령 역시 2020년 총선에서 민주당이 180석을 장악했지만 부동산 정책 실패 등으로 5년 만에 정권을 내줬다.
보수 결집이 이뤄지며 이 당선인과 2위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와의 격차가 한 자릿수인 8.27%포인트인 점도 눈에 띈다. 이는 당초 지상파3사 출구조사 결과의 격차 12.4%포인트보다 줄어든 것이며, 똑같이 박근혜 대통령 탄핵으로 치러졌던 2017년 19대 대선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 2위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의 격차 17.05%포인트보다 적은 수치다.
이 당선인 역시 첫 메시지에서 ‘국민통합’을 강조하고 나섰다. 지난 대선 과정에서 ‘통합’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민주당의 정체성을 ‘중도보수’로 표방하는 등 외연 확장과 통합에 공을 들인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 당선인은 당선이 확실시 된 후 연설에서 “대통령의 책임은 국민을 통합시키는 것”이라며 “큰 통치자가 아니라 국민을 크게 통합시키는 대통령의 그 책임을 결코 잊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치가 편을 가를지라도 국민은 편을 가를 필요 없다”며 “잠시 다투었을지라도, 우리를 지지하지 않은 그분들도 대한민국 국민이다. 입장이 다르고 생각이 다르고 다른 색깔의 옷을 잠시 입었을지라도 우리는 모두 위대한 대한민국의 위대한 대한국민”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