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새 정부 첫 인사 발표를 하기 위해 연단에 오르고 있다. 2025.06.04. bjko@newsis.com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취임 첫 일성으로 대선기간 약속했던 '민생 회복'과 '경제 살리기'에 국정운영의 에너지를 집중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천명했다. 이 대통령은 관련 정책 수립 및 실행 등을 위한 컨트롤타워로 '비상경제대응테스크포스(TF)'를 본격 가동키로 했다. 이는 트럼프발(發) 관세 및 통상 전쟁 대응을 비롯해 0%대로 고꾸라질 위기에 처한 경제성장률(GDP), 한국경제의 펀터멘털(기초체력) 약화를 부추기는 극심한 소비·내수 부진 타개책 마련 등을 토대로 경기회복의 마중물로 삼겠다는 복안이다.
이 대통령은 4일 서울 여의도 국회 로텐더홀에서 열린 취임선서 후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민생회복과 경제 살리기부터 시작하겠다"며 "불황과 일전을 치르는 각오로 비상경제대응TF를 바로 가동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후보 시절부터 강조해온 민생 회복을 위한 경제 살리기가 가장 시급한 과제라는 판단에서다. 이 대통령은 당선 이후 가장 먼저 할 일에 대해 "지금 가장 심각한 문제는 민생"이라며 "경제 상황 점검을 가장 먼저 지시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경제 살리기의 원동력은 35조원 안팎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달 정부는 13조8000억원 규모의 추경을 편성했지만, 이 대통령은 줄곧 경제선순환 구조를 고리로 한 돈맥경화 현상을 타개하기 위해 추가 추경 편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해 왔다. 이 대통령은 "국가 재정을 마중물로 삼아 경제의 선순환을 되살리겠다"고 설명했다.
추경 편성에 대한 논의는 최대한 빠른 시일 내 이뤄질 전망이다. 이 대통령은 "지금 당장 바로 시행할 수 있는 회생정책이 필요하다. 핵심은 아마도 추경 편성이 될 가능성이 높다"며 "빠르면 오늘 저녁에라도 관련된 모든 부처의 책임자뿐 아니라 실무자도 모아서 당장 할 수 있는 경제 정책이 무엇인지, 규모와 방식, 절차들을 최대한 점검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취임후 처음으로 우원식 국회의장을 포함한 여야 대표들과 오찬을 갖고 '협치를 통한 생산적 정치 구현'에 대한 구상도 내놨다.
이 대통령은 국회 사랑재에 진행된 오찬에서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천하람 개혁신당 대표 등 야당 지도부를 향해 "제가 잘 모시도록 하겠다. 자주 뵙기를 바란다"며 "모든 것을 혼자 다 100% 취할 수는 없다. 양보할 것은 양보하고 타협할 것은 타협해 가급적 모두가 동의하는 정책으로 국민이 나은 삶을 꾸리게 되기를 진심으로 소망한다"고 당부했다.
외교 정책의 경우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 기조를 내놨다. 위안부 문제 등 미해결 과제가 쌓인 한일 관계에 대해선 실용 주의 관점의 접근법을 제안했다.
이 대통령은 "협력할 건 협력하고, 정리할 건 정리하고, 가능하면 현안들이 뒤섞이지 않았으면 좋겠다"며 "실용적 관점에서 서로에게 도움되는 건 하고, 서로에게 피해가 되는 것은 피하고, 한쪽에 덜 도움이 되면 이해관계를 조정해 가면서 적정한 선에서 서로 타협할 수 있겠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일본과의 과거사 문제에 대해선 전 정권부터 이어져 온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대통령은 "강제징용 문제는 위안부 문제까지 같이 포함할 수 있는데, 국가 간 관계는 정책의 일관성이 특히 중요하다. 국가 간 신뢰 문제이기 때문에 그런 점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며 "국가 정책이란 것을 개인적 신념만 일방적으로 강요하거나 관철하기도 쉽지 않다"고 밝혔다.
syj@fnnews.com 서영준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