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제주, 현충일 기념 다큐 방영
김희애 내레이션으로 참여 눈길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2년 10월의 어느 날, 군마가 필요했던 미군들이 찾아간 곳은 바로 서울 신설동 경마장이었다. 50㎏이 넘는 무반동포와 개당 10㎏에 달하는 탄약을 전장으로 실어나를 말이 필요했다. 차량 통행이 불가능했던 험준한 고지를 오가던 병사들을 대신해 탄약수송병 역할을 해 줄 말을 찾던 그들의 눈에 띈 것이 바로 ‘아침해’였다. 젊은 마주인 김혁문과 기수 최창주가 아끼는 4살짜리 암말. 6.25전쟁 발발로 제대로 된 경주 기회를 가져보지는 못했지만 훈련내용을 정확히 기억하는 등 남다른 영특함을 가졌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누이의 의족값이 필요했던 젊은 마주는 눈물을 훔치며 ‘아침해’를 미군에게 건네주었고, 그들은 아침해에게 ‘겁없는’, ‘용감한’ 이라는 뜻의 ‘레클리스(Reckless)’라는 새 이름을 붙여주었다. 레클리스는 훗날 한국전쟁에서 전우를 지켜낸 최고의 말, 이례적으로 훈장까지 받는 영웅이 된다.
사실 처음 레클리스를 만난 미군 병사들은 우려의 시선이 많았다. 작은 체구 때문이었다. 그러나 철조망 회피, 참호 피신 등 기초훈련을 척척 해내는 레클리스의 모습을 보고 우려는 기대로 바뀌었다.
![]() |
레클리스와 부대원들 |
레클리스의 가치는 판문점 인근(현재의 연천군) 지역에서 전개됐던 네바다 전초에서 가장 빛을 발했다. 늦은밤 중공군의 기습공격이 시작됐고, 분당 500발의 포가 무수히 떨어지는 생지옥이 펼쳐졌다. 탄약보급병 역할을 하던 레클리스 또한 집중공격을 당해 온몸이 피투성이가 되는 등 큰 부상을 입었지만, 포기하지 않고 자신의 임무를 완벽히 수행했다.
하루 평균 51차례 포탄을 싣고 사지로 걸어 들어가는 그의 뒷모습을 바라보며 눈물을 훔치는 병사들도 있었다는 후문이다. 이를 계기로 레클리스는 전투 중 적의 공격에 의해 부상, 실종, 사망한 미군 군인에게 수여되는 퍼플하트 훈장을 비롯해 미 대통령 표창, 미 국방부 종군 기장, 유엔 종군 기장 등을 수여받았다. 미 해병은 레클리스의 용맹함을 높이 기리며 하사 계급을 수여했고 1959년 전역하기까지 동료들과 친밀하게 지내며 편안한 여생을 보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도 전설적인 호국영웅인 레클리스의 업적을 기리고자 다양한 활동들을 펼치고 있다. 지난해에는 한국마사회와 제주특별자치도가 힘을 모아 렛츠런파크 제주에 레클리스 기념동상을 세우고 제주마축제와 연계해 그의 희생정신을 되새기기도 했다.
한편 KBS제주에서는 6일 현충일을 맞아 ‘영웅의 귀환, 레클리스’를 방영한다. 배우 김희애가 내레이션을 맡은 해당 다큐멘터리는 오는 21일 전국의 시청자들과 만나 다시 한번 진한 감동을 선사할 예정이다.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