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청, 차세대 발사체 개발 계획 바꿔 '재사용 기술' 적용 추진
"우리나라도 1년에 위성 100기씩 쏠 것…경쟁력 빠르게 갖춰야"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25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한국형 우주 발사체 누리호가 발사되고 있다. (사진=항우연 제공) 2023.05.25.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차세대 발사체를 재사용 발사체로 조기 전환하면 10년 뒤에는 1년에 로켓을 10번은 발사할 수 있을 것이다. 시기를 놓치면 우주산업 진입장벽이 높아진다"
우주항공청은 20일 서울 용산구 서울비즈센터에서 기자들과 만나 재사용 발사체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차세대 발사체 개발 초기부터 재사용 발사체 기술을 조기 도입해야 다른 국가와의 경쟁에 뒤처지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우주청은 약 2조132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누리호의 뒤를 이을 차세대 발사체를 2032년까지 일회성 발사체로 개발하는 사업 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하지만 최근 전세계 우주수송 분야 추세에 맞춰 차세대 발사체를 재사용 발사체 형태로 조기 전환한다는 목표를 다시 세웠다. 재사용 발사체 기술을 도입하는 만큼 예산도 약 2980억원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같은 우주청의 사업 계획 전환 시도는 현재 기획재정부의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 심사를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박재성 우주청 우주수송부문장은 최근 전세계 우주수송 발사 시장 추이를 살펴보면 빠른 재사용 발사체 개발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미 미국의 스페이스X가 재사용 발사체 상용화에 성공했고, 중국·유럽·러시아·일본·인도 등도 2030년 전후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가별로 보면 재사용 발사체 기술을 확보하는 목표 시점으로 중국은 2033년, 유럽은 2030년대 초, 러시아는 2028년, 일본은 2030년대 후반, 인도는 2034년 등을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박 부문장은 "모든 나라가 2030년 전후를 목표로 재사용 기술을 개발 중인 만큼 우리나라도 현재의 발사체 계획을 잘 활용해서 2030년대 재사용 기술을 확보하면 충분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시기를 놓치면 우주산업 진입장벽이 고착화될 것"이라며 "재사용 발사체를 통해 우주 수송 인프라를 낮추고, 그를 통해 6G나 위성인터넷 등 후방산업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카치카=AP/뉴시스] 13일(현지시각) 미국 텍사스주 남부 보카치카 해변의 스타베이스에서 스페이스X 우주선 스타십의 로켓 부스터 '슈퍼헤비'가 발사대 메카질라에 역추진해 돌아오고 있다. 2024.10.14.
박순영 우주청 재사용발사체프로그램장은 차세대 발사체 개발사업 계획을 재사용 발사체 형태로 변경해야 하는 이유 및 현재 추진 경과 등에 대해 소개했다. 그는 특히 우주발사체의 성능·비용·일정이라는 3가지 핵심 요소를 모두 잡기 위해서는 재사용 기술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박 프로그램장에 따르면 현재 우주청이 계획 중인 재사용 발사체는 이미 상업화에 성공한 스페이스X의 '팰컨9'과 유사한 형태가 될 예정이다.
차세대 발사체를 재사용 발사체로 전환한다면 발사를 위한 연료(추진제)도 기존의 케로신 추진제에서 메탄 추진제로 변경하고, 엔진 배치도 바뀌게 된다. 기존 차세대 발사체는 1단에 100톤 엔진 5기와 2단에 10톤 엔진 2기를 탑재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재사용 발사체는 팰컨9과 같이 1단에 80톤 엔진 9기, 2단에 80톤 엔진 1기를 탑재할 계획이다. 기체의 예상 길이도 52m에서 70.8m로 더 길어지고, 직경도 1단 3.8m와 2단 3.3m에서 전(全) 단부 4.2m로 통일된다.
특히 박 프로그램장은 차세대 발사체를 기존 계획대로 개발하고 추후 재사용 발사체로 전환하면 2039년 즈음에나 재사용 체계가 확립되지만, 지금부터 계획을 조기 전환하면 2035년에 체계가 잡힐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이렇게 재사용 체계가 확보되면 지금 누리호를 1~2년에 한 번 쏘는 것과 달리 1년에 10회 이상의 발사가 가능해질 것이라는 기대다.
박 프로그램장은 "우주항공청은 스페이스X가 보여준 것 같은 저비용 우주수송 기술의 선순환을 만들어내려 한다"며 "2030년대 중반에는 우리나라도 1년에 100여기의 인공위성을 쏠 것이고 이 수요는 더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된다. 결국 우주수송 단가를 더 낮추고, 이렇게 아낀 비용으로 더 많은 위성 임무를 수행하는 등 선순환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syhs@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