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추진방향. [과기정통부 제공]
정부가 민관 협력으로 글로벌 수준의 독자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프로젝트에 시동을 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과 함께 내달 21일까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참여할 국내 정예팀 공모에 착수한다고 20일 밝혔다.
그간 '월드 베스트 LLM(WBL)'으로 발표해 온 프로젝트의 정식 명칭도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로 지칭했다. 글로벌 수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이 국내에 오픈소스로 확산될 경우 다양한 AI 서비스 출시와 AI 전환이 가속화되며 AI 기술 발전으로 인한 사회적 편익이 확산하는 기반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정부는 국내 AI 기업·기관 중심의 정예팀(컨소시엄 가능)을 대상으로 공모한다. 최대 5개 정예팀을 선발해 단계평가로 경쟁형 압축할 계획이다. 6개월 이내 출시된 최신 글로벌 AI 모델 대비 95% 이상 성능이 목표다. 목표와 방법론 등은 단계평가마다 무빙타겟 방식을 도입한다. 참여기업 규모와 오픈소스 수준에 따라 정예팀의 매칭 비율이 차등화될 예정이다.
정부는 정예팀을 대상으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에 필요한 그래픽처리장치(GPU), 데이터, 인재를 종합 지원한다. GPU는 올해부터 내년 상반기까지 민간이 보유한 GPU를 1576억원 규모로 임차해 지원한다. 이후 정부 구매분을 활용해 지원해 팀당 GPU 500장 등부터 시작해 단계 평가를 거쳐 1000장 이상 규모 GPU를 지원할 계획이다.
데이터는 모든 정예팀들의 저작물 데이터 공동구매와 함께, 개별 정예팀의 데이터 구축·가공을 지원한다. 팀당 데이터 공동구매는 연간 100억원, 데이터 구축·가공은 연간 30억~50억원(연도별 정예팀 압축에 따라 상이) 규모로 지원할 계획이다.
인재는 정예팀이 해외 우수 연구자를 유치할 경우, 인건비, 연구비 등 필요 비용을 정부가 매칭 지원한다. 연간 20억원 규모의 지원이 이뤄진다. 인재 지원은 인재 확보의 연속성 차원에서 정예팀 압축과 관계없이 오는 2027년까지 지원할 방침이다.
전 국민이 무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모두의 AI' 프로젝트를 공약으로 내세운 이재명 대통령은 새 정부 출범 후 대통령실에 AI미래기획수석을 신설했다. 이어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 센터장을 초대 AI미래기획수석으로 임명하는 등 AI 경쟁력 확보에 나서고 있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국내 최고 수준의 AI 정예팀들이 도전해 글로벌 수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확보, 확산하고 대한민국이 AI 강국으로 도약하는 '모두의 AI'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김나인기자 silkni@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