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응답에 BBC 기사 단어 그대로
퍼플렉시티 “우리는 인터페이스 플랫폼일뿐”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영국의 공영방송인 BBC가 미국의 인공지능(AI)기반 검색 스타트업 퍼플렉시티(Perplexity)를 상대로 법적 대응을 예고하며, 생성형 AI와 언론사 간의 저작권 갈등이 본격화되고 있다.
BBC는 지난 20일(현지시간)퍼플렉시티 최고경영자 아라빈드 스리니바스(Aravind Srinivas)에게 공식 서한을 보내 BBC 기사 콘텐츠를 무단 크롤링해 AI 모델 학습에 사용한 정황을 지적했다. 또 △모든 콘텐츠 크롤링 중단 △보유 데이터 삭제 △재정적 손해배상안 제출을 요구했다.
크롤링(crawling)은 웹 페이지를 그대로 가져와서 거기서 데이터를 추출해 내는 것이다.
뭐가 논란인데?
BBC는 자사의 콘텐츠, 단어를 퍼플렉시티가 그대로 복제했다는 입장이다.
BBC는 퍼플렉시티의 일부 AI 응답에서 자사 기사 내용이 단어 하나 틀리지 않고 복제됐으며, 해당 응답 중 약 17%는 사실관계 오류 또는 문맥 왜곡이 포함됐다고 주장했다. 공영방송으로서의 BBC는 무단 이용이 계속될 경우 공신력 훼손은 물론 라이선스 기반 재정 운영에도 위협이 된다고 강조했다.
퍼플렉시티는 이에 대해 “BBC는 기술과 인터넷, 지식재산권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며, 해당 주장을 “조작적이고 기회주의적(manipulative and opportunistic)”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자사는 자체적으로 기초 모델을 개발하거나 훈련하지 않으며, 오픈AI, 구글, 앤트로픽, 메타 등을 기반으로 다양한 외부 모델에 접근하는 인터페이스 플랫폼일 뿐이라고 해명했다.
AI 저작권 분쟁의 불씨… 업계 반응도 분분
이번 사안은 로이터(Reuters), 파이낸셜타임스(FT), 가디언(The Guardian) 등 다수의 해외 주요 매체들이 일제히 보도하며, AI 산업 내 저작권 이슈의 상징적 사건으로 부상하고 있다.
퍼플렉시티는 이전에도 뉴스코퍼레이션 계열사와의 법적 충돌, 언론사들의 ‘크롤링 중단 요청서’ 수령 사례가 있었으나, 동시에 타임, 포춘, 데어 슈피겔(Der Spiegel) 등 일부 매체들과는 수익 공유 계약을 맺으며 타협점을 모색해왔다.
하지만 BBC는 서한에서 “퍼플렉시티의 콘텐츠 재활용 행위는 BBC의 대중 신뢰 및 공공 언론으로서의 위상에 심각한 타격을 주며 수신료로 운영되는 구조 자체를 위협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안은 단순한 기업 간 분쟁을 넘어 생성형 AI 산업이 언론의 저작권을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에 대한 국제적 논의로 확산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단순한 학습 데이터 활용 논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AI 기반 검색과 뉴스 소비 방식 자체의 변화가 언론사의 기존 비즈니스 모델을 근본적으로 흔들 수 있기 때문이다.
김현아 (chaos@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