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로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산 AI반도체를 활용한 '온디바이스 AI 서비스 실증·확산' 사업 과제를 최종 선정하고 사업에 본격 착수한다고 23일 밝혔다.
사업은 온디바이스 AI 혁신 서비스 발굴, 도시 단위의 대규모 실증을 통해 국산 AI반도체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온디바이스 AI는 국산 AI반도체를 기기에 탑재해 클라우드 연결 없이도 기기상에서 AI를 구현할 수 있어 개인정보 등에 대한 보안이 높고,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재난 대응, 범죄 예방 등 각종 사회문제 해결과 생활 편의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CCTV, 드론 등에 적용되어 생활 밀착형 안전 서비스 구현을 통해 최근 발생한 대형 산불과 같은 피해에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과기정통부는 이같은 도시개선 효과를 국민이 단기에 체감할 수 있도록 지역별 여건과 현장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온디바이스 AI 서비스 개발을 지원한다. 도시 단위 실증을 추진하기 위해 지난 3월 31일부터 1달간 공모를 진행했다. 아울러, 공모에 접수한 10개 컨소시엄 중 3개의 컨소시엄을 선정하여 올해 총 85억5000만원 국비를 시작으로 2년간 도시 단위 실증을 본격 시작한다.
'해양도시 부산특화형 온디바이스 AI 서비스 실증'과제는 수상 로봇과 AI CCTV를 활용하여 기름 유출 방지, 해양 쓰레기 상시 제거 등 실시간 감지·대응 서비스를 개발·실증하여, 부산의 해양 사고를 예방하고 신속하게 대응해서 해양 안전 관리 역량을 강화한다.
'산불 조기경보 및 자율형 AI 안전 관제 온디바이스 실증' 과제는 AI CCTV와 드론을 활용하여 산불을 조기에 탐지하고 산불확산 경로를 실시간으로 예측하는 시스템을 개발·실증하여, 경상남도 산청군과 하동군의 지역주민과 산림을 보호하고 최근 발생한 산불과 같은 피해를 예방하는 데 기여한다.
'영주 ON : 온디바이스로 여는 안전하고 개선된 도시' 과제는 드론과 AI CCTV를 활용하여 범죄, 쓰러짐 등 위기 상황에 대해 도시를 실시간으로 관제하고 산불, 녹조 등 환경위험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통합안전관제 시스템을 개발·실증하여, 경상북도 영주시의 도시 안전을 고도화하고 환경 보호를 강화해 도시 관리를 효율화한다.
과기정통부는 국산 AI반도체를 활용한 온디바이스 AI 서비스의 도시 단위 실증을 최초로 추진하는 만큼, 서비스 개발·실증 과정에서 규제 특례가 필요한 부분을 사전 검토해 규제 샌드박스와 연계하는 등 과제가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한다는 목표다.
박태완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이번 사업을 통해 국산 AI반도체로 구현한 온디바이스 AI가 도시 안전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박지성 기자 jisung@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