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TV 성낙윤 기자]
<앵커>
이재명 정부의 초대 해양수산부 장관으로 지명된 전재수 후보자는 부산을 '북극 항로 거점 도시'로 만들겠다고 강조해왔습니다.
특히 북극항로 구축의 중요한 역할을 할 HMM의 부산 이전도 빠르게 추진될 것으로 보입니다.
산업부 성낙윤 기자와 알아보겠습니다.
성 기자, 우선 북극항로가 뭔지 간단히 설명해주시죠.
<기자>
북극항로는 북극해를 지나는 바닷길입니다,
얼음으로 덮여있어 운행이 어려웠지만, 기후 변화로 5년 뒤에는 여름철 기준 완전히 해빙될 것으로 보입니다.
북극항로를 이용하면 운항 거리와 기간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일례로 부산에서 유럽까지 갈 때 기존 수에즈 운하가 아닌 북극항로를 이용한다면 거리와 기간은 각각 30%, 10일 단축됩니다.
북극항로가 활성화되면 유럽-동북아 간 물류 이동에서 부산이 기항지나 기종점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됩니다.
환적 화물과 선박 원료 공급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셈이죠.
다만 해운업계 일각에서는 북극항로는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1년 중 유빙이 녹는 시기만 오갈 수 있고, 일반 선박보다 30~50% 비싼 쇄빙선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또 중간 기항지가 없어 운항 중 다른 화물을 환적할 수 없는 만큼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설명입니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북극항로 개척을 강조해 왔습니다.
해양을 새 국가 비전으로 제시하면서 그 수도는 부산으로 정해 수도권 일극 체제를 극복하겠단 전략입니다.
이를 위해 제시한 게 해양수산부 및 HMM 이전, 해사법원 설치, 그리고 동남투자은행 설립입니다.
관련 분야의 행정, 사법, 기업, 금융 등 기능을 부산에 집적하겠단 겁니다.
부산 지역 3선 의원인 전재수 해수부 장관 후보자는 이번 대선에서 민주당 북극항로개척추진위원장 겸 부산총괄선거대책위원장을 맡은 인물입니다.
<앵커>
전 후보자가 임명된다면 북극항로 개척 작업을 주도하게 될 텐데, 기관 이전 등도 속도가 붙겠네요?
<기자>
제가 어제(23일) 후보자와 직접 통화를 해봤는데요.
전 후보자는 "북극항로 시대를 잘 준비해서 해양 강국 대한민국을 만들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논란이 있는 여러 현안에 대해서는 "청문회 등을 통해 정리된 입장을 밝힐 것"이라고 말을 아꼈습니다.
당장 구체적인 추진 방안이 나온 건 아니지만, 전 후보자의 과거 발언을 종합해보면요,
최근 한 언론사와의 인터뷰에서 전 후보자는 "이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해수부·HMM이 전에 대해 책임지고 빠르게 진행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고 했습니다.
해수부 장관이라는 컨트롤 타워가 세워지면 힘 있게 추진될 역점 사업이라는 뜻입니다.
또 "좁게 보자면 부산을 위한 공약인데, 근본적으로는 대한민국의 발전 전략이라는 큰 구상 속에서 나온 것"이라고 했습니다.
북극항로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의 전략기지가 필요하다는 입장인 겁니다.
또 전 후보자는 "수도권 중심의 성장 엔진 하나만 달고서 위태롭게 날고 있는데, 해양 강국으로 나가기 위한 또 다른 엔진이 필요하다"고 짚었습니다.
우리나라가 갖추고 있는 쇄빙선, 내빙선 경쟁력에 더해 울산, 부산, 거제도로 이어지는 조선벨트와 그 후방 산업까지 수혜가 이어질 것이란 청사진입니다.
특히 HMM을 둘러싼 논란을 의식한 발언도 있습니다.
이달 초에는 "정부가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을 최대한 이용해서 구성원들의 이해와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했는데요.
반발하고 있는 HMM 육상노조를 설득할 명분을 잘 준비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앵커>
부산 지역 정치권과 경제단체들은 HMM의 이전을 기대하는 눈치인데요.
상황 어떻게 흘러가고 있습니까?
<기자>
HMM 직원의 55%를 차지하는 육상노조는 여전히 강력 반대 중입니다.
이들은 '상장사의 자율성을 훼손하는 정치 폭력'이라며 투쟁까지 예고했는데요.
이들은 본사가 위치한 서울 여의도가 금융 인프라와 고객사 네트워크 접근성을 확보하기에 더욱 용이하다는 논리입니다.
실제 HMM은 선박·선원을 관리하는 해상 부문(부산사업본부)과 화주영업·선박금융을 담당하는 육상 부문(서울 여의도 본사)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또, 900명이 내려간다고 부산 경제에 어느 정도 활력이 돌지도 미지수라는 입장입니다.
특히 저연차 인력들의 서울 잔류 의지가 매우 강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본사 이전이 현실화될 경우 인력 유출과 조직 불안정성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전 후보자가 청문회를 거쳐 본격 지휘봉을 잡게 된다면 이 같은 논란을 어떤 식으로 잠재울지 주목됩니다.
<앵커>
잘 들었습니다.
영상편집 최연경, CG 배예지
성낙윤 기자 nyseong@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