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서울 양재aT센터에서 열린 글로벌 양자 축제 '퀀텀 코리아 2025'에서 심주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장이 정부의 양자 정책 방향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연지안 기자
[파이낸셜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오는 2035년까지 양자 기술 수준을 85%까지 높이고, 양자 관련 인재도 2500명 수준으로 확대한다. 이를 위해 하반기 양자 특화대학 2곳을 선정해 공동 연구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24일 서울 양재aT센터에서 열린 글로벌 양자 축제 '퀀텀 코리아 2025'에서 진행된 퀀텀 프론티어 포럼을 통해 과기정통부는 이 같은 정부의 양자 정책 목표와 계획을 밝혔다.
이날 발표를 진행한 심주섭 과기정통부 양자혁신기술개발과장은 "국내 양자 기술 수준을 현재 62.5% 수준에서 오는 2035년에는 85% 수준까지 높인다는 목표"라며 "양자는 인력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양자 전문인력도 현재 384명 수준에서 2035년까지 2500명까지 확대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또 양자 관련 국제 협력도 강화해 오는 2035년까지 누적 2100억원을 국제 협력에 사용할 계획이다.
앞서 한국의 양자 정책은 크게 3단계로 추진돼왔다. 초창기에는 연구개발(R&D) 위주로 2019년부터 투자를 시작한 이후 2022년 인재양성 전략을, 2023년부터 2024년 관련법 통과 시행에 이어 올해는 양자에 대한 산업화를 중심으로 종합계획과 시행계획을 준비중이라는 설명이다.
심 과장은 "양자 기술 관련해서는 컴퓨팅, 통신, 센서 3가지 분야가 가장 중요한 분야"라며 "초전도 분야는 오는 2035년 이후 상용화가 목표이며, 양자통신은 오는 2031년까지 전국에 시범 수준까지로 확대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시행된 양자 관련법에 이어 올해는 전체적인 거버넌스를 정립해서 산업과 민간간 협업도 준비중이다.
이어 추가 연구개발과 기술 지원도 계획중이다. 양자 연구개발 지원은 2019년 100억원의 소규모로 시작했지만 양자가 국가전략기술로 선정되면서 그 지원 규모는 빠르게 늘고 있다는 평가다. 실제 올해 연구지원액은 전년보다 50% 증가했고, 이 같은 증가 규모는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심 과장은 "연구개발뿐만 아니라, 국제협력과 인력 양성 지원까지 종합적으로 지원하고자 한다"며 "학계와의 공동 연구도 활성화해 하반기에는 양자분야 특화대학 2곳을 지정해 지원코자 한다"고 밝혔다. 하반기부터 공통 연구를 통해 기술발전과 인재양성을 이어나갈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편 '퀀텀 코리아 2025'는 이날부터 26일까지 3일간 ‘100년의 양자, 산업을 꺠우자’는 주제로 진행된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