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네이티브로 AI인프라 자원 효율적 배분
공공 클라우드의 민간 클라우드 전환 활성화 필요
제도적 불확실성·AI분야 전문인력 부족 업계 발목
최지웅 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장이 24일 서울 강남 KT클라우드 사무실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팽동현 기자
최지웅 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장
"클라우드는 인공지능(AI)·데이터·사이버보안 등 디지털산업 전반을 떠받치는 기반 인프라다. 독립적인 산업이 아니라 반도체, 네트워크, 미래 제조업까지 연결되는 국가 디지털 인프라다."
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KACI)가 24일 개최한 간담회에서 최지웅(사진) 회장(KT클라우드 대표)은 '소버린 클라우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동안 공공 시스템의 민간 클라우드 전환이 부처 간 엇박자 등으로 지지부진했던 만큼, 새롭게 출범한 이재명 정부에게 클라우드업계가 거는 기대는 크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AI 3대강국(G3) 도약'뿐 아니라 '공공 클라우드의 민간 클라우드 전환 적극 추진'도 공약으로 내건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최 회장은 기존의 단순 클라우드 이전을 넘어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필요성을 재차 역설했다.
그는 "그래픽처리장치(GPU) 슬라이싱 등을 통한 효율적인 AI인프라 자원 배분을 위해선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이 갖춰져야 한다"며 "오픈AI와 딥시크 등은 이미 이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최 회장은 데이터·AI 주권 확보를 위해 소버린AI 구현에도 국내 클라우드서비스제공사(CSP)의 인프라·플랫폼이 적극 활용될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는 "글로벌 CSP가 국내 리전으로 데이터 레지던시는 충족할 수 있으나, 미국 클라우드법에 따라 미국정부가 데이터 공개를 요구하면 이들은 응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 짚었다.
정부 일각에서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에 제기하곤 하는 보안성 부족 주장에 대해선 "이미 민감 정보를 다루는 금융 분야에서도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가 쓰이고 있다"며 반박했다.
아울러, "AI 경쟁력은 데이터에서 비롯되므로 이를 위해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를 광범위하게 활용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으나 여러 제약과 규제가 문제"라고 덧붙였다.
최근까지 공공 클라우드 전환에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민관협력형(PPP) 클라우드가 선택지로 우선시돼왔다. 하지만 민간 IT인프라를 도입해 운영한다 해도 정부 시설을 임대해 쓰는 것이므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 구현에는 제한적인 모델이다.
최 회장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필요성뿐 아니라 이런 시설들이 수년 내 포화될 것까지 고려해 미리 전력망을 포함한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바라본다. AI산업 발전에도 제동이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최 회장이 제시하는 대안은 미국 정부가 취하는 방식인 정부 클라우드 센터다. 아마존웹서비스(AWS) 등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에게 정부 보안 요건 등에 따른 전용 데이터센터를 짓게 하고 공공 대상 클라우드 서비스를 맡기는 것이다.
그는 "정부가 클라우드에 대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빠르게 움직여야 할 때"라며 "정부 클라우드 센터의 경우 각 지역 산업 생태계 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클라우드를 포함한 IT서비스 분야에 대해 행정안전부가 추진 중인 서비스수준협약(SLA) 의무화에 대해서는 기대와 우려를 함께 표했다.
최 회장은 "큰 틀에선 긍정적이나 서비스 유형이나 기업 규모를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인 기준 적용에 대한 부담은 상당히 크다"며 "특히 중소·중견 CSP 입장에서 과도한 가용률 요건이나 이중 SLA 요구는 현실적인 사업 진입 장벽으로 작용될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국내 클라우드산업이 직면한 당면한 과제로는 클라우드보안인증(CSAP), 공공조달절차, 보안가이드라인 등의 제도적 불확실성을 첫손에 꼽았다. 글로벌 사업자 중심의 점유율 집중 현상이 심화되면서 기술력을 갖춘 국산 CSP들이 기회를 확보하기 어려운 구조가 고착화되는 점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와 AI 분야 전문 인력 부족 문제도 클라우드 업계의 발목을 잡고 있다. 이 가운데 전 정부 들어 줄어든 클라우드 예산이 AI 정책 영향까지 받을까봐 업계는 걱정하고 있다.
최 회장은 소버린AI를 중심으로 AI G3 도약을 달성하기 위해선 그 기반이 될 소버린 클라우드를 담당하는 국내 클라우드 산업에 대한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동안 공공 클라우드 전환 관련해 거버넌스가 잘 갖춰지지 않았다고 본다. 이는 결국 지도자의 의지와도 맞닿아있을 것"이라며 "이번 정부의 정책이 선언에 그치지 않고 현장에서 체감 가능한 전환과 혁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협회도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팽동현기자 dhp@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