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팝 아이돌 소재의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국내외서 뜨거운 인기를 모으고 있는 가운데, 일부 중국 누리꾼들의 몰지각한 주장이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었다.
iMBC 연예뉴스 사진
25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일부 중국 누리꾼들이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등장하는 한국적 요소를 두고 "중국 문화를 훔쳤다"는 억지 주장을 펼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중국 최대 리뷰 사이트 더우반에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 관련 리뷰가 24일 기준으로 약 1천여 건이 올라와 있다"며 "이 중에는 '중국 문화를 표절했다', '왜 한국적인 요소에 중국 요소를 넣는 거냐', '영화에 중국 매듭이 수차례 등장한다' 등 어이없는 주장을 계속해서 펼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서 교수는 "현재 중국에선 넷플릭스가 공식적으로 서비스되지 않기에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또 불법시청 한 후 리뷰를 남긴 것으로 보인다"며 불법시청이 일상이 된 중국의 상황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어떠한 부끄러움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 더 기가막힐 따름이다. 중국 누리꾼들은 한국이 중국 문화를 훔쳤다'는 억지 주장을 펼칠 것이 아니라, 스스로 먼저 다른 나라 문화를 존중할 줄 아는 마음부터 가져야만 할 것이다. 이제 제발 정신 좀 차렸으면 한다"고 일갈했다.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순위 집계 사이트 플릭스패트롤에 따르면 20일 공개된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전 세계 영화 부문 1위를 기록했다.
한국 뿐만 아니라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호주, 멕시코, 일본 등 총 26개국에서 1위에 오르며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케이팝 슈퍼스타인 루미, 미라, 조이가 화려한 무대 뒤 세상을 지키는 숨은 영웅으로 활약하는 이야기를 담은 액션 판타지 애니메이션이다. 공연이 없을 땐 용감한 악마 사냥꾼이 되어 주변에 도사리고 있는 초자연적 위협으로부터 사람들을 지키는 오컬트 액션 서사도 담았다.
애니메이션 '스파디어맨: 뉴 유니버스' 제작사인 소니 픽처스가 제작을 맡았다. 배우 안효섭, 이병헌 등이 목소리 더빙에 참여했고 트와이스 정연, 지효, 채영이 OST 가창에 참여했다. 뿐만 아니라 남산서울타워, 기와집, 저승사자 등의 한국적인 요소들이 보는 재미를 더했다.
[이하 서경덕 교수 입장 전문.]
K팝 아이돌을 소재로 한 넷플릭스 신작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공개와 동시에 세계적인 돌풍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지난 23일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순위 집계 사이트 플릭스패트롤에 따르면 20일 공개된 이 작품은 전 세계 영화 부문 1위를 기록했습니다.
한국 뿐만 아니라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호주, 멕시코, 일본 등 총 26개국에서 1위에 오르며 흥행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런 와중에 일부 중국 누리꾼들은 작품에 등장하는 한국적 요소를 두고 "중국 문화를 훔쳤다"는 억지 주장을 펼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중국 최대 리뷰 사이트 더우반에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 관련 리뷰가 24일 기준으로 약 1천여 건이 올라와 있습니다. 이 중에는 "중국 문화를 표절했다", "왜 한국적인 요소에 중국 요소를 넣는 거냐", "영화에 중국 매듭이 수차례 등장한다" 등 어이없는 주장을 계속해서 펼치고 있습니다.
현재 중국에선 넷플릭스가 공식적으로 서비스되지 않기에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또 불법시청 한 후 리뷰를 남긴 것으로 보입니다. 이제 중국 내에서는 '불법시청'이 일상이 된 상황입니다. 특히 어떠한 부끄러움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 더 기가막힐 따름입니다.
암튼 중국 누리꾼들은 "한국이 중국 문화를 훔쳤다"는 억지 주장을 펼칠 것이 아니라, 스스로 먼저 다른 나라 문화를 존중할 줄 아는 마음부터 가져야만 할 것입니다. 이젠 제발 정신 좀 차렸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iMBC연예 백승훈 | 사진출처 넷플릭스
Copyright © MBC연예.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