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앱 상생정책/그래픽=이지혜
새 정부 들어 배달업계를 향한 눈초리가 매섭다. 이재명 정부와 여당이 배달 수수료 상한제 등을 논의하며 배달업계를 압박하는 가운데, 서울시가 '배달플랫폼 상생지수'를 개발한다며 가세에 나섰다. 최근 점주 및 고객 친화적인 정책을 내놓고 있는 배달업계는 이전 정부부터 이어 온 협의의 결실일 뿐이라고 입을 모았다.
26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하반기 중 배달플랫폼의 수수료 구조와 거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배달플랫폼 상생지수'를 개발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가맹점주 100명으로 구성된 '배달플랫폼 상생 모니터링단'을 운영하는 등 현장 감시를 강화한다. 정부와 여당의 상생 노력 요구도 여전하다. 더불어민주당 을지키는 민생 실천 위원회(을지로위원회)는 '배달플랫폼 총수수료 상한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배민은 최근 점주 및 고객 친화적인 정책을 내놓고 있다. 배민은 지난 10일 1만원 이하 소액 주문 건에 대해 점주 부담 중개수수료를 면제하겠다고 밝혔다. 지난달 29일부터는 1인 가구 등 소량 배달 음식이 필요한 고객이 최소주문금액 없이 편리하게 주문할 수 있는 '한그릇' 카테고리를 서울 전역으로 확대하기도 했다.
쿠팡이츠도 상생 노력에 적극적이다. 쿠팡이츠는 지난 3월 포장 주문에 대한 '중개수수료 무료' 정책을 1년간 연장했다. 지난 5월에는 점주가 매출 규모와 관계없이 5.5%의 중개이용료와 '실제 배달 비용'을 부담하는 절약형 요금제를 내놨다. 점주는 절약형 요금제와 기존 상생형 요금제(매출 규모에 따라 2~7.8% 범위에서 차등 부과) 중 선택 적용받을 수 있다.
업계는 정부 방침에 협력하는 건 당연한 일이지만, 새 정부 들어 의도적으로 상생 정책을 내놓는 것은 아니라고 입을 모았다. 그간 정부나 자영업자 측과 협의해 온 내용이 구현되고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배민의 '소액 주문 중개수수료 면제' 정책은 지난 3월 말부터 을지로위원회 주재로 이어온 사회적 대화의 '중간 합의안' 성격인 것으로 알려졌다. 쿠팡이츠의 상생 정책은 대부분 대선 이전에 발표됐다.
한 업계 관계자는 "배달 앱이 점주와 상생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조성된 건 이미 오래전 일"이라며 "외부 단체·기관과의 협의, 내부 논의, 시스템 개발 등을 거쳐 발표되고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최근 출시된 일련의 상생 정책이 점점 치열해지는 배민과 쿠팡이츠 간 경쟁의 산물이라고 해석했다. 점주 친화적인 정책을 통해 입점 업체를 늘리면 고객은 더 다양한 음식을 선택할 수 있고, 더 많은 고객이 모이는 배달앱에 다시 점주들이 찾아오는 '락인(lock-in) 구조'를 노린다는 것이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결국 고객 입장에서 중요한 건 내가 원하는 음식을 보다 낮은 가격에 주문할 수 있는지"라며 "그래서 배달업계가 중개수수료를 낮추고 입점 업체를 확보하기 위해 경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찬종 기자 coldbell@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