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뉴스 인터뷰
"관세 유예 연장 필요없다…9일 이전 발송"
일본 거론하며 "車관세 25% 부과"
관세율 "25%·35%·50% 또는 10%"
"틱톡 구매자 있다…시진핑 승인 예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다음 달 8일까지인 상호관세 유예 시한과 관련해 "우리가 할 일은 9일 이전에 모든 국가에 서한을 보내는 것"이라고 29일(현지시간) 밝혔다. 상호관세 유예 조치를 연장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그는 교역 상대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이 10~50% 수준에서 결정될 수 있다는 뜻도 내비쳤다.
로이터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공개된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상호관세 유예 연장 여부에 대한 질문에 "필요 없을 것 같다. 연장할 수도 있고, 큰 문제가 아니다"라며 이같이 답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상호관세 발효 직후 90일간 유예 조치를 내렸다. 이후 각 교역 상대방과 무역협상을 진행 중이다. 전 세계는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유예 조치를 연장할지 주목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각국이 우리를 어떻게 대하는지, 좋은 나라인지 그렇지 않은지 살펴볼 것"이라며 "우리가 신경쓰지 않는 일부 국가들에는 높은 수치를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교역 상대국들이 미국 에너지 등을 수입해 무역적자를 줄일 수 있다면서도 각국이 10~50%의 관세율이 적힌 서한을 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가 할 일은 서한을 보내고 '축하한다. 25%, 35%, 50%, 또는 10%의 관세를 부담하게 될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각국의 관세·비관세 무역장벽을 고려해 최대 50%의 상호관세를 부과할 수 있지만, 일부 국가에는 10%의 기본관세만 부과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과정에서 현재 협상이 진행 중인 일본을 거론하기도 했다.
그는 일본이 미국산 자동차를 수입하지 않는 대신 미국은 일본 차 수백만 대를 수입하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그것은 불공평하다"며 "우리는 대일 무역적자가 크고, 그들은 이해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일본은 25%의 자동차 관세를 부과받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 수입산 자동차와 차 부품에 25%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특히 한국과 일본이 미국 자동차 업체보다 낮은 관세를 부과받는 협정을 체결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계 동양상 플랫폼인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 매각과 관련해 "틱톡 구매자가 있다"며 "아마 중국의 승인이 필요할 것이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승인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틱톡 구매자와 관련해서는 "매우 부유한 사람들의 그룹"이라며 즉답을 피한 뒤 "2주가량 후에 말하겠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이란이 평화를 이룬다면 제재를 해제할 것이란 입장도 밝혔다.
그는 최근 중국이 이란 석유를 구입할 수 있다는 발언이 제재 해제 여부를 의미하느냐는 질문에 "아니다. 그런 의미로 말하지 않았다"며 "이란이 평화를 이룰 수 있고 어떤 손해도 입히지 않을 것이란 점을 보여준다면 제재를 해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제재는 큰 비용이 들며 매우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뉴욕=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