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맨틱 통신으로 핵심정보만 추출·전달
자율주행·홀로그램 통신 기반 기술
노키아 벨 연구소 협력…기술 상용화
KT 미래네트워크연구소 직원들이 미국 벨 연구소에서 진행된 시맨틱 통신 관련 개발 시연에 참여하는 모습. [KT 제공]
[헤럴드경제=권제인 기자] KT가 ‘시맨틱 통신(의미 전달 통신)’ 연구 개발을 통해 6G 시대 글로벌 기술 리더십 확보에 나선다고 30일 밝혔다. 시맨틱 통신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데이터가 가진 의미, 맥락을 이해하고, 핵심 정보만을 추출해 전달하는 차세대 통신 기술이다.
기존 통신이 데이터의 모든 요소를 전달하는 방식이었다면 시맨틱 통신은 AI가 통신 과정에서 주고받는 데이터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한다. 이는 사람이 서로 대화할 때 모든 음성 신호를 물리적으로 분석하지 않고도 핵심 의미를 파악해 소통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통신업계에서는 시맨틱 통신이 AI를 네트워크 구조에 본질적으로 통합한 ‘AI-네이티브 네트워크’ 구조를 실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완전 자율주행과 로봇 원격 제어, 실감형 홀로그램 통신 등 미래 서비스를 가능케 것으로 기대된다.
KT는 지난해 10월부터 고객이 체감하기 가장 쉬운 영상·음성 통신 분야에 시맨틱 기술 내부 실증을 진행 중이다. KT는 실증 결과 기존 대비 현저히 낮은 데이터 전송량으로도 사용자의 체감 품질 저하 없이 원본의 의미를 전달하는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것을 확인했다. 시맨틱 통신이 상용화 한다면 네트워크 혼잡 구간이나 대역이 제한된 위성 통신에서도 고품질 미디어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이용하는 등 보다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KT 미래네트워크연구소 직원들이 미국 벨 연구소에서 진행된 시맨틱 통신 관련 개발 시연에 참여하는 모습. [KT 제공]
세계적인 통신 기술 연구기관인 노키아 벨 연구소와도 손을 잡았다. 양사는 올해 초 6G 시맨틱 통신 기술 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지난 5월에는 미국 벨 연구소 본사에서 ‘6G & 시맨틱 통신 기술 워크샵’을 개최했다. 워크샵에서 양사는 기술 비전과 로드맵을 공유하고 중장기 공동 연구 방향을 구체화했다.
KT와 노키아 벨 연구소는 이번 공동 프로젝트를 통해 ▷시맨틱 전송 알고리즘 개발 ▷앤드 투 앤드(무선 구간을 포함하여 실제 단말간 통신 시험) 성능 검증 및 실증 등을 수행하고 공동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6G 국제 표준화 기여와 글로벌 기술 생태계 주도에도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피터 베터 노키아 벨랩 코어 리서치 총괄은 “노키아 벨랩은 시맨틱 통신 연구의 최전선에 있으며, KT와 협력을 통해 활용 사례를 검증하고 기술 상용화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며 “지난 100년간 기술 혁신을 선도해 온 벨랩은 시맨틱 통신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비트 전송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연구를 지속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종식 KT 미래네트워크연구소장(전무)은 “통신 기술의 미래는 AI와의 융합에 있으며, 시맨틱 통신은 AI를 통신 기술과 결합해 네트워크의 근본적인 역할을 재정의할 혁신적인 기술”이라며 “KT는 자체 연구 역량 강화와 더불어 벨 연구소와 같은 글로벌 최고 수준의 파트너와 적극 협력해 다가올 6G 시대의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