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AI컨설팅 유응준 대표
“인공지능(AI) 에이전트 시대에는 AI가 스스로 판단하고, 학습하고, 실행하는 AI가 된다. 이러한 변화는 기업의 운영방식과 비즈니스 모델에 근본적인 전환을 일으킬 전망이다.“
유응준 준AI컨설팅 대표는 7월 3일 역삼포스코타워에서 열리는 'KAIST CAIO AI리더십 포럼 2025'에 앞서 가진 인터뷰에서 에이전틱 AI 시대의 비즈니스 패러다임 변화에 대해 이렇게 밝혔다.
유 대표는 AI 에이전트 시대의 3대 패러다임 변화로 고객 응대 방식 혁신, 업무 수행 방식 변화, 의사결정 구조 전환 등을 제시했다. 생성형 AI가 요청 내용을 만들어주는 수준이었다면, AI 에이전트는 인격체처럼 자율적으로 행동하며 기업 운영의 전 영역을 재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일어나는 변화이다.
엔비디아코리아 전 대표 출신인 유 대표는 현재 AI 서버, 솔루션 납품 및 AI 관련 교육컨설팅을 전문으로 하는 준AI컨설팅(Joon AI Consulting)을 운영하며, 최근 유행하는 AI 에이전트 구축과 LLM 도입, 기업 C레벨을 위한 AI 시대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유 대표는 에이전틱 AI 시대의 비즈니스 패러다임 변화로 세 가지 핵심 영역을 제시했다.
첫째는 고객을 응대하는 방식의 변화다. 기존에는 콜센터나 챗봇이 단순한 질문에 응답하는 수준이었지만 이제는 AI 에이전트가 고객의 맥락을 이해하고, 예약, 환불, 클레임까지 자율적으로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말 그대로 고객과의 대화를 책임지는 하나의 인격체처럼 행동하는 AI가 된다는 것이 유 대표의 설명이다.
둘째는 업무 수행 방식의 변화다. 기존의 자동화는 단순 반복작업에 머물렀지만 AI 에이전트는 다양한 시스템과 도구를 조합해 복잡한 작업도 혼자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다음 주 견적서 보내줘'라고 하면, 관련 데이터를 모으고, 문서를 작성하고, 메일까지 보내는 작업을 스스로 하는 것이다. 유 대표는 “사람이 일하는 게 아니라, AI가 대신 일하고 사람은 승인만 하는 구조로 바뀌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셋째는 의사결정 구조의 변화다. 기존에는 분석가가 데이터를 보고 경영자가 판단했다. 이제는 AI가 데이터를 분석하고, 가능한 시나리오를 제시하며 최적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게 된다. 즉 경영자는 판단만 하면 되고, 실행은 다시 AI가 처리하게 되는 변화이다.
유 대표는 “에이전틱 AI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업무와 의사결정, 고객 경험 전반을 재정의하는 존재”라며 “이제 기업은 AI를 '도입할지 말지'가 아니라, '어떻게 이 패러다임을 주도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2024년이 AI가 파일럿에서 생산 단계로 이동한 해였다면, 2025년에는 전사적 규모로 확대되는 양상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유 대표는 이런 변화를 주도하는 핵심 기업으로 엔비디아를 꼽으며, 최근 GTC 행사에서 발표된 신기술들을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AI 에이전트 시대를 이끌어 가고 있는 미국의 빅테크는 아마도 엔비디아라고 생각한다“면서 ”그래서 엔비디아 GTC 행사에서 나온 메시지는 이 시대에 AI 관련 일을 하는 분들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유 대표가 요약한 GTC 2025의 주요 신기술은 다음과 같다. 첫째, AI 추론과 추론에 최적화된 차세대 GPU인 '블랙웰 울트라(Blackwell Ultra) AI' 발표로 기업용 AI 팩토리 구축의 본격화를 알렸다.
둘째 추론 중심의 오픈 LLM인 '라마 네모트론(Llama Nemotron)'과 물리적 AI 시대 로보틱스 전용 파운데이션 모델인 '아이작 그루트(Isaac GROOT) N1' 등 주요 에이전틱 AI를 공개했다.
셋째, 옴니버스와 코스모스 모델을 결합해 물리적 AI 시뮬레이션을 강화하고, 디지털 트윈 기반 시뮬레이션을 통한 제조·도시 운영의 최적화를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AI 팩토리 시대에 AI 데이터센터를 최적화하기 위한 '엔비디아 다이나모 AI 인퍼런스 모델'을 발표해 AI 데이터센터 운영체계 혁신을 예고했다.
유응준 대표는 “올해 기업들은 고객 만족, 자동화된 비즈니스 프로세스, 향상된 판매 수익 등 조직에 측정 가능한 가치를 제공하는 목표 지향적 AI 활용 사례를 모색할 것으로 관측된다”면서 “AI 도입은 복잡한 기술 문제가 아니라, 비즈니스 문제를 해결하는 전략적인 선택”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유응준 준AI컨설팅 대표는 7월 3일 역삼포스코타워에서 열리는 KAIST CAIO AI리더십 포럼 2025에서 '에이전틱 AI시대의 비즈니스 패러다임 시프트'라는 주제로 발표한다. 그는 신기술 및 기술 트렌드의 공유를 통해서 AI 에이전트 시대 기업의 대비책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CAIO 중심의 실전 전략 포럼인 'KAIST CAIO AI 리더스 포럼 2025' 행사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포럼 홈페이지(https://conference.etnews.com/conf_info.html?uid=408)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유은정 기자 judy6956@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