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공에너지 직원들 "주식가액 10분의 1에 매각 시도…노조 설립 동향 파악도"
중부발전 측 "아직 협상 전, 잘못된 정보에 의한 오해"
익산 상공에너지 [촬영 김진방]
(익산=연합뉴스) 김진방 기자 = 전북 익산 상공업계가 공동 출자해 설립한 ㈜상공에너지를 모회사인 한국중부발전이 헐값에 매각하려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중부발전은 상공에너지의 장기 적자가 지속해 경영 정상화가 필요하다며 매각을 추진 중이다.
중부발전에 따르면 상공에너지의 2022∼2024년 연평균 단기순손실은 40억~50억원에 달한다.
상공에너지 직원들은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사모펀드의 입찰액이 매각 대상 주식가액의 10분의 1도 되지 않는다며 '헐값 매각'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특히 우선협상대상자가 직원 고용보장을 3년으로 제시하고, 수익성이 좋은 정비사업소 2곳(세종·원주)에 대한 장기 수의계약 보장 등을 요구한 것이 직원들의 반발을 촉발했다.
상공에너지는 성형고체연료(Refuse Derived Fuel) 등 신재생에너지를 주 연료로 전기와 증기를 생산해 익산 1, 2산업단지에 공급하기 위해 2007년 익산에 설립된 집단에너지 발전사다. 당시 익산상공회의소 회원사 등 지역상공업계가 공동 출자해 설립했다.
이후 2010년과 2018년 유상증자를 통해 중부발전이 지분을 85% 확보하며 대주주로서 실질적인 경영을 맡아 왔다. 지난 5월 지분 매각을 위해 재무적 투자자(FI) 지분 14.37%까지 인수하면서 지분 99.37%를 확보했다.
중부발전은 지난해 9월 이영조 사장 취임 이후 장기 적자 등을 이유로 상공에너지 매각을 추진해왔다. 지난 4월 예비 실사 및 입찰과 본 입찰을 거쳐 최근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했다. 또 상공에너지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도 진행했다.
설명회에 참가한 직원들은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우선협상대상자가 제안한 입찰액은 66억원에 불과하다. 옵션 이행에 따른 추가 지급액 120억원을 합쳐도 180억원 수준"이라며 "옵션의 경우 이행 여부에 따라 지급액이 결정되니 현재까지 확정된 지분 인수금액은 66억원"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중부발전은 지난 5월 재무적 투자자 지분 14.37%를 인수하는데 250억원을 들였다"며 "불과 한 달 만에 지분 99.37%의 입찰액이 66억원이 됐다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매각 대상인 상공에너지 보통주자본금(1주당 액면가액×발행주식총수)은 지난해 12월 말 기준 788억원이다.
이에 대해 중부발전 관계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이란·이스라엘 분쟁 등 이슈로 발전 연료 가격이 급등하면서 적자 폭이 커지고 장기화하고 있다"며 "이에 반해 공익적 측면과 경쟁 업체 등의 문제로 산단에 공급하는 증기 가격을 올릴 수 없는 상황이 반복돼 지분 매각을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헐값 매각 논란에 대해서는 "매각 대상 주식가액과 우선협상대상자 입찰액은 비밀유지 의무가 있어 밝힐 수 없다"면서 "직원들이 주장하는 입찰액 66억원은 잘못된 정보이고, 이번 주부터 한 달간 협상이 진행되기 때문에 8월 초에나 지분 매각액이 확정될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고용 승계와 관련해서는 "지분 매각은 자산 매각과 달리 고용 승계나 정년 보장 등을 논의 대상에 포함하지 않는다"면서 "그럼에도 고용 승계를 협상 조건에 넣어 협상할 예정이고, 고용 보장 기간이 만료된다고 하더라도 상공에너지의 취업규칙상 정년이 보장돼 있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근로기준법상 구조조정에 의한 정리해고는 까다로운 법적 절차를 거쳐야 한다"면서 "이는 협상 대상이 아니다"고 덧붙였다.
상공에너지 직원들은 지분 매각을 두고 중부발전 측과 갈등이 깊어지자 노조를 설립해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이 같은 움직임에 상공에너지 사측이 노조 설립 동향을 파악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익명을 요구한 상공에너지 관계자는 "오늘(30일) 대표이사가 주재한 부장단 회의에서 사측은 노조 가입 의사자 등 직원 동향과 노조 설립 주동자가 누구인지 등을 파악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노조에 가입하겠다는 직원이 상당수에 이른다. 이번 주 내 노조 설립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수의 직원이 중부발전에서 노조 설립 동향 파악 등 관련 지시를 내린 것이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중부발전 측은 "노조 설립과 관련해서는 우리가 직접적인 노사관계를 형성하고 있지도 않고, 노조 설립 동향 파악이 부당노동행위라는 것을 충분히 알고 있기 때문에 절대로 그런 지시를 내리지 않는다"면서 "명확하게 그와 관련한 지시를 내리도록 관여하거나 지시를 내린 적이 없다"고 못 박았다.
chinakim@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