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포닥(박사후연구원) 지위 보장부터
지역 R&D 생태계까지 과학기술 인재 대전환 신호탄
부처 간 산발적 인재정책 ‘통합 로드맵’ 마련 시급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가 청년·여성·지역 중심의 과학기술 인재정책 재설계에 나섰다.
국정기획위 경제2분과(분과장 이춘석)는 3일 서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현장 연구자들과 함께 ‘과학기술 인재정책 간담회’를 열고, 청년과학자 지원 확대, 지역 인재 양성, 여성·고경력 연구자 활용 강화 등 미래형 인재 정책 전환에 대한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간담회는 최근 학령인구 감소, 수도권 집중, 과학기술계 인력 유출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대전환의 서막으로 평가된다.
이춘석 국정기획위원회 경제2분과위원장이 6월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에서 열린 R&D 예산 등 경제2분과 현안관련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스1
“연구도 사람이다”…청년 과학기술인 안정적 성장을 위한 정책 확대
간담회에서는 박사후연구원(포닥)의 법적 지위 보장과 인건비 확대, 신진 연구자의 연구기회 확충이 핵심 과제로 제시됐다.
이공계 대학원생과 학생연구원들이 안정적으로 학업과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장학금과 생활장려금 지원도 대폭 확대돼야 한다는 요구가 나왔다.
이와 함께 산업현장과의 연결성을 강화한 산·학·연 연계형 인재육성 프로그램도 필수적이라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제시한 ‘청년 과학기술 인력 집중 지원’ 방안과 맥을 같이한다. 이재명 정부는 젊은 연구자가 중견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전 주기적 지원체계를 설계 중이며, 포닥의 법적 지위 명문화, 인건비 현실화, 연구 기회 확대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지역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도 핵심 의제…“수도권 쏠림 해소해야”
참석자들은 수도권 집중 완화를 위한 지역 주도의 과학기술 생태계 구축도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지역 전략산업 중심의 R&D 투자 확대와 함께, 지역 인재가 머물 수 있는 정착형 인재지원 프로젝트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는 단순한 기술 투자에 그치지 않고 국가 균형발전과 지방 대학의 경쟁력 회복을 위한 구조적 해법으로도 주목된다.
경력단절 여성·은퇴 과학자도 ‘인재풀’로
그간 정책의 사각지대였던 여성과학자의 복귀 지원과 고경력 은퇴 과학자의 연구 참여 확대도 제도화 필요성이 제기됐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결혼,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과학자들이 다시 연구에 복귀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화학물질 등 고위험 실험환경에 대한 안전 강화와 더불어 국가 차원의 연구실 안전 컨트롤타워 구축이 필요하다는 제안도 나왔다.
이는 단순한 사고 예방을 넘어 연구자 처우와 생명권 보장의 핵심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부처 간 산발적 인재정책 ‘통합 로드맵’ 마련 시급
현장 전문가들은 현재 과학기술 인재 정책이 교육부, 과기정통부, 산업부 등 여러 부처에 산재돼 비효율적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이들은 “과학기술 인재 정책은 성장 단계별로 명확히 구분된 체계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지원체계 일원화와 전략적 로드맵 수립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춘석 경제2 분과장은 “이재명 정부는 국가적 차원의 과학기술 인재 지원을 공약으로 제시했고, 오늘 나온 다양한 의견을 국정과제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라며 “연구자가 연구에만 집중할 수 있는 나라,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과학기술 생태계를 위해 정책을 정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현아 (chaos@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