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효가 일주일쯤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우리 정부도 협상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데요.
미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과 무역협상을 완료했다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내용 국제부 연결해 들어봅니다.
최진경 기자!
[기자]
네, 우리나라는 현지시간 25일 미국에서 이른바 2+2 한미 무역협의를 앞두고 있습니다.
우리 측은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나설 예정인데요.
미국에선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가 나와 마주 할 예정입니다.
현재로선 한미간 가장 크고 중요한 협의체로 볼 수 있는데요.
우리나라는 앞서 25%의 상호관세를 통보받았는데, 이 자리에서 한미 무역합의의 윤곽이 드러날 가능성이 큽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기존 무역 채널과는 별도로 측면 지원에 나설 것으로 전해졌고, 이미 미국에 도착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미국 측 주요인사와 경제와 안보, 정상회담 일정까지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런 가운데 조금 전 미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과 무역협상을 완료했다"고 밝혔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은 미국에 대해 15%의 상호 관세를 지불할 것"이라면서 "일본은 미국에 5,500억 달러를 투자할 것이며, 미국은 이익의 90%를 받게 된다"고 공개했습니다.
[앵커]
한편, 미국이 필리핀과 네 번째 관세 합의를 이뤘죠.
직전 타결한 인도네시아 협상 내용도 공개됐다고요.
[기자]
네, 현지시간 22일 미국과 필리핀의 무역 합의가 이뤄졌습니다.
영국과 베트남, 인도네시아에 이은 네 번째 타결인데요.
필리핀산 제품에 붙는 상호관세율은 19%로, 기존 20%보다 1%포인트 낮아진 수치입니다.
다만 미국은 필리핀에 무관세로 무역을 할 수 있게 됐는데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필리핀과 "군사적으로 협력할 것"이라고도 강조했습니다.
직전에 타결한 인도네시아와의 무역협상 내용도 공개됐는데요.
인도네시아에 대한 상호관세를 32%에서 19%로 낮추는 대신, 미국이 수출하는 자동차와 농산물 등에 대한 규제는 면제하기로 했습니다.
[앵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3차 협상을 앞둔 가운데, 러시아 크렘린궁 측이 관련 언급을 내놨다고요?
[기자]
네, 러시아 크렘린궁 측은 곧 다가올 우크라이나와 3차 종전 협상에서 '기적적인 돌파구'는 기대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 상황 해결은 매우 복잡해 포로 교환이나 전사자 시신 송환 등에 합의하는 것도 성과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는데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를 향한 공습은 계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우크라이나 당국자들은 지난 밤 사이 러시아가 북부 수미 등 도시 4곳을 공격해 어린이 1명이 숨지고 최소 41명이 다쳤다고 전했습니다.
여기에 미국이 17년 만에 영국에 핵무기를 배치한 것으로 보인다는 영국 언론의 보도가 나왔는데요.
더 타임스는 F-35A 전투기에 탑재할 B61 핵폭탄으로 추정했는데, 미국이 러시아에 자국의 의도를 알리기 위한 것이라고도 분석했습니다.
지금까지 국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영상편집 박은준]
#트럼프 #한미무역협의 #중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러시아 #우크라이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최진경(highjean@yna.co.kr)
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