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서 10%P 낮춰 英제외 가장 낮아…이시바 "대미흑자국 중 최저 관세율"
트럼프 "日, 760조원 대미투자 및 車·쌀 등 교역개방…알래스카 LNG도 투자"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서울·워싱턴=뉴스1) 최종일 선임기자 류정민 특파원 = 미국과 일본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 시작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관련한 협상을 타결했다. 미국은 일본산 제품에 대해 예고한 25% 상호관세를 15%로 낮췄고, 일본은 700조 원 이상의 대규모 미국 투자를 약속했다. 일본산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한 미국 측 관세는 절반 수준으로 대폭 하향됐다.
트럼프의 협상 타결 발표 직후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23일 총리 관저에서 기자들에게 "트럼프 대통령과의 협상에서 합의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이어 자동차 관세율 인하를 설명하며 "세계에 앞서, 수량 제한이 없는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관세 인하를 실현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또 "25%까지 인상될 것으로 알려졌던 상호관세율은 15%에 그칠 수 있었다. 이는 대미 무역흑자를 안고 있는 국가 중 지금까지 가장 낮은 수치"라고 강조했다.
이시바 총리는 "반도체나 의약품 같은 경제안보상 중요한 물자에 대해 만약 미래에 관세가 부과될 때도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에 후순위로 취급되지 않는다는 확약을 얻었다"고 말했다.
그는 아울러 "일본 기업의 대미 투자를 통해 반도체와 의약품, 철강, 조선, 핵심 광물, 항공, 에너지, 자동차, 인공지능(AI) 및 양자(컴퓨터) 등 경제안보상 중요한 분야에 대해 함께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강인한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해 긴밀히 제휴하기로 합의했다"며 "경제 안전보장의 관점에서도 매우 중요한 합의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합의에는 농산품을 포함해 일본 측 관세를 낮추는 것은 포함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21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참의원 선거에서 패배한 직후 자민당 본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5.07.21 ⓒ 로이터=뉴스1 ⓒ News1 김지완 기자
일본이 지난 4월 2일 통보받은 상호관세율은 24%였으며,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8월 1일 부과하겠다며 새롭게 제시한 관세율은 25%였다. 상호관세 15%는 미국이 앞서 타결한 교역국 가운데 영국(10%)을 제외하고 가장 낮은 수치다. 미국은 영국 외에 베트남(20%)과 인도네시아(19%), 필리핀(19%) 등과 합의를 발표했다.
앞서 트럼트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일본산 제품에 대한 상호관세를 15% 부과하고 일본이 5500억 달러(약 760조 원)의 대미 투자를 약속하는 내용의 무역 협상을 타결했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우리는 일본과 역사상 최대 규모의 합의를 완료했다"면서 "일본은 제 지시에 따라 미국에 5500억 달러를 투자하고, (미국이) 그 수익의 90%를 받는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합의는 수십만 개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면서 "이와 같은 사례는 전례가 없다"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가장 중요한 점은 일본이 자동차와 트럭, 쌀 및 특정 농산물, 기타 품목을 포함한 교역을 개방할 것이라는 점"이라면서 "일본은 미국에 15%의 상호관세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는 미국에 매우 흥분되는 시점이며 특히 일본과 훌륭한 관계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라고 했다.
앞서 일본은 미국과의 협상 과정에서 '대미 투자 펀드' 조성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알려진 펀드 규모는 4000억 달러 수준이었는데, 협상 과정에서 5500억 달러까지 커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트럼프는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공화당 의원 초청 만찬 자리에선 일본은 알래스카에서 미국과 액화천연가스(LNG) 개발을 위한 합작 사업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열린 공화당 의원 초청 만찬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7.22 ⓒ 로이터=뉴스1 ⓒ News1 최종일 선임기자
특히 최대 쟁점이었던 자동차 및 부품 추가 관세도 절반으로 낮아져 최대 성과라는 평가가 나온다. 일본의 대미 무역 흑자의 약 80%는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서 나온다.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는 기존 50%로 유지된다.
일본산 자동차 관세는 4월부터 추가 부과받고 있는 25%의 세율을 절반인 12.5%로 낮추고, 기존 세율인 2.5%를 더해 최종 15%로 하기로 양국 정부가 합의했다. 이에 이날 일본 증시에서는 도요타와 혼다 등 주요 완성차 기업 주가가 10% 안팎 급등세를 나타내고 있다.
쌀에 대해선 '미니멈 액세스(minimum access)' 범위는 유지하되 실질적으로 미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을 늘리기로 합의했다.
'미니멈 액세스'는 최소한의 쌀 수입을 의무화하는 제도를 말한다. 세계무역기구(WTO) 협정에 근거해, 일본은 연간 77만 톤의 쌀을 무관세로 의무 수입하고 있다. 이 틀에서 일본은 2023년의 경우 미국과 태국, 호주, 중국 등에서 쌀을 수입했고, 이 중 미국으로부터 가장 많은 34만여 톤을 수입했다.
이날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소셜미디어 엑스(X)에 "(일본에 의한) 5500억 달러의 투자로, 주요 산업을 미국 내에 회귀시킬 것"이라고 썼다. 이어 "승리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이것은 단지 시작에 지나지 않는다"며 타국과의 합의에도 의욕을 나타냈다.
allday33@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