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오리지널 리뷰] 난장판이>
[김형욱 기자]
카니발 트라이엄프호, 길이는 272미터에 달하고 폭은 35미터에 달하며 1999년 당시 자그마치 4억 2천만 달러를 투입해 만든 초거대 크루즈다. 마치 고층 빌딩 하나가 가로로 누워 있는 모양인데 물 위에 떠 있다니, 직접 그 앞에 서 보지 않고는 실감하기 쉽지 않았다. 안으로 들어가면 로비, 아케이드, 연회장, 극장까지 펼쳐져 있었다. 어딜 봐도 즐길 거리뿐이었다.
2013년 2월 7일, 미국 텍사스 갤버스턴에서 출항해 이틀간 항해해 멕시코 코수멜에서 정박한 다음 다시 하루 동안 항해해 갤버스턴으로 돌아가는 총 4일간의 항해를 시작한다. 전 세계에서 온 승객만 4000명이 넘었고 직원만 1200여 명으로 5000명이 훌쩍 넘는 인원이 크루즈에 탑승해 있었다.
모든 게 완벽했던 카니발 트라이엄프호, 하지만 넷째 날 새벽에 일이 벌어진다. 기관실에서 화재가 발생했고 오래지 않아 정전으로 이어진 것이다. 한순간에 표류하는 신세가 되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다큐멘터리 컬렉션 시리즈 '난장판이 된 사건사고' 중 <똥범벅 크루즈>가 짧고 굵게 당시의 이야기를 전한다. 황당하고 당황스러우며 더럽고 또 감동적이다.
<똥범벅 크루즈>는 비록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인기에 가로막혀 글로벌 순위 1위를 찍진 못하고 최고 순위 2위에 머물렀으나, 몇몇 나라에서 1위를 찍으며 위용을 뽐냈다. 무슨 일이 있었는지 궁금증을 자아내고도 남을 소재인 건 분명해 보인다.
설마... 별 일 아니겠지?
![]() |
▲ 넷플릭스 오리지널 다큐멘터리 <난장판이 된 사건사고: 똥범벅 크루즈>의 한 장면. |
ⓒ 넷플릭스 |
처음 배에서 정전이 발생했을때 대다수는 이 사태가 심각하긴 하지만 그리 오래지 않아 해결될 거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문제가 순차적으로 발생하기 시작했다.
휴대폰이 터지지 않는 건 둘째치고 당장 전기식으로 된 변기를 사용할 수 없었다. 그렇게 작은 볼일은 샤워실에서 처리했고 큰 볼일은 주최 측이 나눠준 빨간 봉투에 처리해야 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4일간의 항해 마지막 날이니 별 문제가 아닐 거라 생각했다.
그런데 정전 문제는 금방 해결되지 않았고 하염없이 시간만 갔다. 배는 움직이지 못했고 표류하며 어디론가 흘러가고 있었다. 에어컨도 작동하지 않으니 배 안에 있기 힘들었고 땡볕 아래 있자니 시원한 물 한잔이 아쉬웠다. 하지만 이 거대한 크루즈는, 1200명에 달하는 직원은 4000명에 달하는 손님에게 뭐 하나 해 줄 수 있는 게 없었다.
평생 잊기 힘든 사고
![]() |
▲ 넷플릭스 오리지널 다큐멘터리 <난장판이 된 사건사고: 똥범벅 크루즈>의 한 장면. |
ⓒ 넷플릭스 |
화재를 완전히 해결한 후 기관실을 점검하니 사태는 생각보다 훨씬 심각했다. 자체적으로 해결할 도리가 없었다. 외부에 도움을 청해야 했다. 하지만 그마저도 여의치 않았던 게, 크루즈가 너무나도 컸고 사람은 많았으며 이미 육지에서 먼 곳으로 흘러가고 있었다.
그 사이 지방 언론이 아닌 CNN이 달려들어 보도하기 시작하니 한순간에 역대급 뉴스가 되어 버렸다. 치욕의 나날을 보낸 수천 명은 결국 구조되어 무사히 상륙했다.
그런데 나중에 알고 보니 이 사고는 이미 예견돼 있었다. 화재에 취약한 선박이었다는 증거가 즐비했다. 당사는 그 사실을 알고 나서도 특별한 조치 없이 선박을 출항시켰다. 이전에도 화재가 종종 났지만 금방 조치를 취해 별 이상 없이 항해를 계속할 수 있었으니 이번에도 별 일 없이 지나갈 거라 생각한 모양이다.
여러모로 배에 타고 있던 사람에겐 불편하고 불쾌한 사건이었을테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singenv.tistory.com과 contents.premium.naver.com/singenv/themovie에도 실립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