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국립의과대학 유치 범도민추친위원회 관계자들이 지난 1월25일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전남권 의과대학 설립을 촉구하고 있다. 전남도 제공
전남도가 국립의과대학 추진 방향을 통합 대학에서 단일 대학으로 바꾸면서 일부 대학의 반발이 나오고 있다.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2일 브리핑에서 “전라남도 국립의대 설립을 위해 어느 대학에 설립할지 공모방식으로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 도지사는 “의과대학 규모는 이번에 정부가 발표한 지역거점 국립의대 수준인 200명으로 신청하고 2026학년도 신설을 목표로 추진하겠다”며 “대입전형 발표 등 여건을 고려하면 통합 의대 방식은 시간상 물리적으로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김 도지사가 밝힌 국립의과대학 유치 대학 선정 네 가지 원칙은 △지역 의료체계 완결성 구축 △주민 건강권 확보 △지역 상생발전 도모 △공정성 확보를 위한 객관적이고 공신력 있는 기관·업체 위탁 등이다. 김 도지사는 “네 가지 원칙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합리적인 공모방식으로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달 14일 윤석열 대통령은 전남민생토론회에서 “어느 대학인지 정해지면 임기 내 추진하겠다”고 말했고 20일 정부 의대 정원 확대 발표에서 한덕수 총리가 전남 의대 신설 추진을 언급하며 전남권 국립의대 설립을 기정사실로 했다. 전남도는 그동안 국립목포대학교와 국립순천대학교 등 전남 동부권과 서부권에 있는 2개 대학이 공동으로 의대를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해 왔다. 하지만 전남 동부권에 있는 순천시, 순천대와 서부권의 목포시, 목포대는 경쟁 양상을 보였다.
이날 김 도지사의 발표에 목포대는 반발했다. 목포대는 보도자료를 내어 “전남도는 통합 의대 추진이 어려워지자 외부기관에 전남 의대 입지를 결정하도록 한다는 것은 입지 선정에 대해 전남도만 정치적 부담에서 벗어나겠다는 신중하지 못한 처사”라며 “지역 의료실정을 잘 모르는 외부기관에 결정을 맡기면 동·서부권 갈등을 증폭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목포대는 “전남 동부권과 서부권의 의료수요는 결코 공모 절차에서 언급한 평가 기준에 따라 등가로 다루어질 사안이 아니다”라며 “동부권은 지자체, 대기업들이 함께 응급외상센터 설치를 추진하고 전남대 여수캠퍼스에 전남대 병원 분원을 설치하는 등의 정책적 대안이 있지만, 서부권은 목포대 의과대학 설치 이외에는 대안이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차주환 목포대 기획처장은 “목포대는 땅 16만5000㎡(5만평)를 확보하는 등 의대 신설을 준비해 왔기 때문에 공모를 한다 면 당연히 목포대가 지정될 것”이라면서도 “의대 지정이 마치 지역의 단위사업을 공모해 나누는 것처럼 추진하는 것은 전남 국립의과대학 신설의 기본 취지가 망각된 처사로 보인다”고 밝혔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