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김소희 기자] 배우 김혜은이 유시민 작가 저격 논란과 관련해 사과했다.
김혜은은 4일 새벽 자신의 SNS에 장문의 사과문을 올리며 "국민의 선택을 온전히 지켜보는 시간에 조금이라도 방해가 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개표가 모두 마무리된 시점에 글을 남긴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5월 31일 제가 작성한 글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셨거나 상심하셨던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저를 오래 지켜봐 주신 분들께, 그리고 뜻하지 않게 그 글을 보시고 실망과 불편을 느끼신 분들께 그 감정의 책임이 온전히 제게 있음을 인식하며 깊이 반성하고 있다"고 고개를 숙였다.
이어 "오래도록 말을 해온 사람으로서, 이번 일을 통해 말이 가진 무게를 다시 한번 배운다"면서 "그 깨달음을 잊지 않고 스스로를 더욱 다 잡는 배우가 되겠다"고 다짐했다.
또한 "앞으로는 배우로서 저의 생각과 표현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데 깊이 고민하며 공인으로서 조심스럽고 책임있는 자세로 임하겠다"며 "대한민국을 사랑하는 국민으로서 누구보다 행복한 대한민국, 발전한 대한민국. 세계 속에 우뚝서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응원한다"고 글을 마무리했다.
앞서 김혜은은 지난달 31일 "어제오늘처럼 서울대 나온 학력이 부끄러운 적이 없었던 것 같다. 제가 대신 죄송하단 말씀 전하고 싶다"며 유시민 작가를 저격하는 듯한 글을 올려 논란의 중심에 섰다.
당시 그는 "인간의 학력과 지성은 고단한 인생의 성실함으로 삶의 증거로 말하는 분들 앞에서 한 장의 습자지와도 같은 아무것도 가치없는 자랑이다"라며 "누구의 인생을 함부로 판단하고 비하하는 혀를 가진 자라면 그는 가장 부끄러운 혀를 가진 자다"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또한 "여자로서 한 남자의 꿈을 위해 평생을 뒷바라지하며 생계를 책임지고, 그러면서 여성 노동운동가로 공의를 위해 몸을 던지려 노력하며 살아오신 설난영 여사와 같은 우리 어머니들을 저는 존경한다. 저는 그리 살지 못했을 것 같아 더 존경한다"고 덧붙였다.
김혜은은 "남편 위해 자식 위해 생계를 도맡고 법카 사고 한 번 없이 남편 뒤에서 묵묵히 자리를 지켜 오신 설난영 여사님, 성실함으로 자기 자리에서 최선을 다한 여인들이 나의 롤모델들"라며 "서울대 나왔다며 고졸 비하하는 교만하고 계급의식 쩔어 사는 썩은 지성인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이는 유시민 작가의 발언에 대한 반박으로 해석된다. 앞서 유시민 작가는 지난 28일 유튜브 '김어준의 다스뵈이다'에 출연해 "유력한 정당의 대통령 후보 배우자 자리는 설난영 씨 인생에선 갈 수 없는 자리"라며 "험하게 살다가 국회의원 사모님이 됐다. 남편을 더욱 우러러보게 됐을 것"이라는 발언을 해 논란이 일었다.
논란이 커지자 유 작가는 "좀 더 점잖고 정확한 표현을 썼더라면 비난을 많이 받진 않았을까 생각한다. 제 잘못"이라며 "설난영 씨가 왜 그런 언행을 하는지에 대해 제가 이해하는 바를 설명한 거다. 제가 계급주의나 여성비하, 노동 비하하는 말을 하지 않았고, 그런 취지로 말한 것도 아니"라고 해명했다.
김혜은은 서울대 성악과, 유시민은 서울대 경제학과 출신으로 동문 관계다. 김혜은의 발언은 선거철인 만큼 논란의 중심에 섰고, 그는 SNS 댓글을 통해 누리꾼들과 설전을 벌이기도 했다.
한 누리꾼이 "계엄 땐 부끄럽지 않았냐. 당당하다면 글을 왜 지우냐"고 지적하자 김혜은은 "당신 같은 분들 때문에 지우게 된다"고 답했다.
또 다른 누리꾼이 "대선 후보와 무관한 사람의 말보다 대선 후보 부인이 '노조 여성은 과격하고 못생겼다'고 한 말에는 왜 반응하지 않냐"고 묻자, 그는 "그건 못 들었다. 그런 일이 있었냐. 우리끼리 이렇게 싸우지 말자"고 답해 논란을 일단락시키려 했다.
하지만 논란이 쉽게 수그러들지 않자 결국 김혜은은 해당 게시글을 삭제하고 댓글 기능도 비활성화했다.
다음은 김혜은 사과글 전문
안녕하세요, 배우 김혜은입니다.
국민의 선택을 온전히 지켜보는 시간에 조금이라도 방해가 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개표가 모두 아무리된 시점에 글을 남깁니다.
지난 5월 31일 제가 작성한 글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셨거나 상심하셨던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저를 오래 지켜봐 주신 분들께, 그리고 뜻하지 않게 그 글을 보시고 실망과 불편을 느끼신 분들께.
그 감정의 책임이 온전히 제게 있음을 인식하며 깊이 반성하고 있습니다.
오래도록 말을 해온 사람으로서, 이번 일을 통해 말이 가진 무게를 다시 한번 배웁니다.
그 깨달음을 잊지 않고 스스로를 더욱 다 잡는 배우가 되겠습니다.
앞으로는 배우로서 저의 생각과 표현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데 깊이 고민하며 공인으로서 조심스럽고 책임있는 자세로 임하겠습니다.
대한민국을 사랑하는 국민으로서.
누구보다 행복한 대한민국, 발전한 대한민국.
세계 속에 우뚝서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응원합니다.
Copyright © 스포츠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