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내대표' 떠난 권성동…
野 비대위원 줄줄이 '사의'
김용태는 일단 '입장 유보'
"여전히 당권 투쟁만" 질타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지난 5일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 사퇴 의사를 표명한 뒤 인사를 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대선 패배 후폭풍에 휩싸인 국민의힘이 3년 만에 정권을 내준 충격 속에 인적 쇄신의 격랑 속으로 빠져들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전격 사퇴한 가운데 지도부 또한 거취에 대한 장고에 돌입하면서, 당의 쇄신과 뼈아픈 반성의 결과물에 정치권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5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보수의 재건을 위해 백지에서 새롭게 논의해야 한다"며 대선 패배의 책임을 통감하고 사퇴를 선언했다.
그는 "이번 대선 패배는 단순히 비상계엄과 대통령 탄핵에 대한 심판에 그치지 않는다"며 "집권여당 국민의힘의 분열에 대한 뼈아픈 질책"이라고 했다. 이어 "원내대표로서 나의 책임이 결코 가볍지 않다"며 "그 책임을 회피할 생각도, 그리고 변명할 생각도 없다"고 덧붙였다.
이번 대선 패배를 계기로 반성하고 혁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잇따르는 만큼, 친윤계의 상징이자 당 지도부의 핵심으로 꼽히는 권 원내대표가 전격 사퇴를 한 것이다. 다만 새 원내대표가 선출될 때까지는 직책을 계속 유지하기로 했다.
권 원내대표가 '인적 쇄신'의 스타트를 끊자 임이자·최형두·최보윤 비대위원과 당연직 비대위원인 김상훈 정책위의장도 사의를 밝혔다. 임이자 비대위원은 "후보 선정 과정에서 불미스러운 일이 있었던 점에 대해 국민께 사과드린다"고 밝혔고, 최보윤 비대위원은 "지금은 하나로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말했다. 최형두 비대위원도 "이미 사퇴 의사를 밝혔다"고 했다.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일단 사퇴 대열에 합류하지 않았다. 이날 오후 속개된 의총을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거취와 관련해서 의원들 의견을 많이 듣고 있다"면서 "사의를 표명한 적 없다"고 말했다.
그는 "선거 과정에서 처절하게 반성하겠다고 말씀드린 부분이 중단 없이 이어져 가야 한다는 생각이 있고 당을 개혁해야 할 부분이 지금 굉장히 많다는 부분을 계속 말씀드리고 있다"며 "가령 대선 기간에 탄핵 반대 당론을 무효화 하겠다고 말씀드렸는데 그것부터 바로잡아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국민의힘 박수민, 울먹이며 반성문 낭독
"대통령의 계엄 동원, 명백히 잘못된 일"
소장파 모임 '첫목회', 영남 중진의원 질타
"당론, 특정 지역 중진들에 의해 결정"
박수민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지난해 비상계엄 사태 이후 이어진 상황에 대한 반성문을 발표했다. 박 원내대변인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 도중 기자들과 만나 "오늘 당직자 총사퇴를 선언했기 때문에 국회의원 박수민으로서 역할을 다시 시작하면서 반성문을 국민들에게 올린다"고 밝혔다.
그는 준비한 반성문을 낭독하면서 "지난해 12월 3일 이후 혼란스러웠던 지난 6개월간 충분한 반성과 사과를 전달드리지 못했다"며 "대통령이 동원한 계엄은 명백히 잘못된 일이다. 정치는 정치로 풀어야 한다는 헌법재판소의 판결은 옳다"고 말했다.
이어 "탄핵 과정의 졸속은 파국을 가져왔다. 이러한 일이 벌어진 근저에는 당내 분열이라는 당 내부의 내재적 결함이 있었다"며 "이 안타까운 당내 분열 속에서 '탄핵 반대당'과 '계엄 옹호당'이 아니냐는 낙인까지 우리 스스로 찍게 됐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 낙인이 이번 대선 패배까지 작용했다. 이 일련의 모든 사안에 너무도 깊이 죄송하다"며 울먹였다.
책임을 통감하는 형태의 움직임이 이어졌지만, 정치권 안팎에서는 여전히 당권 투쟁에 몰두하는 모습으로 비친다는 게 중론이다. '인적 쇄신'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이번 대선을 평가하는 것을 들어보면 '졌잘싸'(졌지만 잘싸웠다)로 평가하면서 정작 험지에서 싸우고 있는 원외 정치인들의 의견조차 수렴하지 않는다는 점에서다.
이날 국민의힘 소장파 모임 '첫목회'는 성명서를 내서 "원내에서는 여전히 당권 투쟁에 몰두하는 모습만 보인다"며 "하지만 이번 대선 패배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것은 험지에서 싸우고 있는 당원과 원외 당협위원장들"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특히 원외 당협위원장들은 그동안 각종 선거에서 누구보다 열심히 싸워 왔음에도 계엄·탄핵 및 대선 정국에서 의견 한 번 제대로 제시할 기회조차 없었다"며 "지금까지 우리 당의 당론은 특정 지역 출신 중진 의원들에 의해 결정돼 왔고, 이러한 결정들로 인해 피해를 입는 당원들의 의견은 철저히 무시됐다"고 지적했다.
첫목회는 "지금이라도 당 개혁 및 지도체제 개편 등 모든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전국 당협위원장 합동회의의 즉각적인 개최를 요구한다"며 "앞으로 당내 주요 당론은 원외당협위원장들을 포함해 결정할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