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만의 추가 투자…AI 전환 수요 선제 대응
리테일·게임 중심 산업 공략 본격화
“ISMS 인증 받아…국내 데이터 외부 반출 없어”
윤용준 알리바바 클라우드 인텔리전스 한국 총괄 지사장이 19일 오전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을하고 있다. 알리바바 클라우드 제공
중국 알리바바 그룹의 클라우드 컴퓨팅 계열사인 알리바바 클라우드가 이달 중 국내 제2 데이터센터 가동에 나선다. 2022년 첫 번째 데이터센터를 연 지 3년 만으로 생성형 AI 확산에 따른 국내 기업들의 클라우드·AI 수요에 선재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다.
윤용준 알리바바 클라우드 인텔리전스 한국 총괄 지사장은 19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AI 기반 기술의 고도화와 산업 전반의 디지털 수요 증가에 발맞춰 한국 내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장해왔다" 며 "두번째 한국 데이터센터는 알리바바 그룹이 한국 시장을 얼마나 전략적으로 보는지에 대한 중요한 투자적 모멘텀"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출범은 2022년 서울에 첫 데이터센터를 설립한 지 3년 만에 이뤄진 추가 투자다. 새롭게 문을 여는 제2센터 역시 서울에 위치한다. 윤 지사장은 "한국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알리바바 클라우드의 성장에 기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이번 시설을 통해 기존 단일 리전 환경에서 구현이 어려웠던 고가용성과 이중화를 확보하고, 클라우드 네이티브, 빅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등 생성형 AI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본격 제공할 계획이다. 윤 지사장은 "백업 부분이 중요해 그동안 하나의 데이터센터만으론 론칭하지 못했지만 이제는 2개의 센터를 개소한 만큼 새로운 서비스들이 가능해졌다"며 "이번 제2데이터센터 출범을 통해 고객에게 보다 유연하고 복원력이 뛰어난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산업 분야의 AI 혁신을 가속화하고 국내 디지털 생태계 확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큰 규모의 엔터프라이즈 고객부터 중소·중견 스타트업 등 다양한 고객을 확보할 방침이다. 특히 유통과 게임, 인터넷 서비스 분야에서 알리바바 그룹의 인프라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생성형 AI 생태계 확산을 뒷받침하겠다는 전략이다.
알리바바 클라우드에 따르면 전 세계 4위 클라우드 사업자로서, 알리바바는 자사 오픈소스 대규모언어모델(LLM) 큐원(Qwen)을 기반으로 다양한 AI 애플리케이션과 연계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공급자다.
윤 지사장은 "리테일의 경우는 알리바바 그룹 자체가 글로벌 커머스 회사로서 선두 위치에 있다"며 "그룹의 모범 사례를 활용해 한국 유통 고객들에게 좋은 롤모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계 클라우드 기업이라는 배경에 따른 보안 우려에 대해서도 적극 해명했다. 국내에선 중국 사이버 보안법 등을 근거로, 중국 정부가 자국 클라우드 기업에 이용자 데이터를 요구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사이버 보안법은 국가 안보나 공익을 이유로 기업에 자료 제출을 요구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임종진 알리바바 클라우드 인텔리전스 수석 솔루션 아키텍트는 "중국의 데이터 보호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하긴 어렵지만, 국내에서 가장 공신력 있는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을 포함해 가장 까다롭다는 유럽 개인정보보호법(GDPR) 등 글로벌 150여개 이상의 컴플라이언스를 충족하고 있다"며 "잠재 고객도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2023년 12월 획득한 국내 ISMS 정책에도 한국 데이터를 외부로 반출하지 않는다는 게 필수"라며 "한국 데이터는 해외로 유출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유진아기자 gnyu4@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