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
"자주파·동맹파 아닌 실익 따라와"
"대공 조사권 확실하게 행사할 수 있도록"
[이데일리 박종화 기자] 이종석 국가정보원장 후보자가 자신이 국정원장에 임명되면 이재명 정부의 실용외교를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북한 전문가인 이 후보자는 한반도 평화를 위해서도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이종석 국가정보원장 후보자가 1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위원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 후보자는 19일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북한 핵 문제, 글로벌 보호주의 확대, 미·중 전략 경쟁 등 안보 경제 복합 위기 속에서 핵심 정보 지원 조직인 국정원의 역할과 책임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국정원장으로서 봉사할 기회가 주어진다면 먼저 흔들림 없는 굳건한 평화 구축에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평화는 강력한 국방력과 그에 바탕을 둔 대화·협상의 두 개의 바퀴가 선순환하며 증진된다고 생각한다”며 “우방국 정보기관과 긴밀히 공조해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과 군사 도발 대비에 총력을 다하는 한편, 지금까지 이어져 온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고 적대적인 남북 관계를 해소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자는 이와 함께 “새 정부의 외교 안보 정책 비전인 국익 중심 실용외교의 성공을 뒷받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며 “세계 각국이 자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며 경제 전쟁을 치르고 있는 지금 국정원의 정보 역량을 가동해 국익 극대화 지점을 가장 먼저 찾아내겠다”고 했다.
이 후보자는 30년 넘게 북한을 연구한 학자 출신으로 노무현 정부에서 통일부 장관을 지냈다. 이 때문에 이 후보자가 국정원장이 되면 대북 정책을 총괄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다. 이 후보자는 자신이 자주파(한미관계에서 자주를 강조하는 견해)라는 지적에 “자주파도 동맹파도 아닌 실익에 따라왔다”고 거리를 뒀다. 그는 “오늘날 세계는 어쨌든 간에 협력해야 되고 그런 점에서 한미 동맹이 가장 기본적인 바탕”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자는 국정원장의 가장 중요한 과제를 묻는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국정원 직원들 하나하나가 자부심을 갖고 ‘전문성에 기초해서 근무하면 나는 평생 이 직장에서 영예롭게 근무할 수 있다’ 이런 생각을 갖게 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국정원의 대공수사권 부활에 대해 이 후보자는 “대공 업무 분야에서 확실하게 조사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시행령에서라도 규정 개정이 필요하다”면서도 “대공 수사권은 3년간 이관 기간을 거쳤고, 다만 아직 정착이 안 된 부분이 있어 정착에 노력을 다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12·3 비상계엄 사태 관련 국정원 내부 감찰 계획에 대한 질문에 “살펴보려고 이것저것 계획을 짜고 있다”고 했다.
여야는 이 후보자의 인사청문보고서 채택 여부를 20일 논의하기로 했다. 국정원장은 인사청문회를 거치긴 하지만 국회 임명 동의 없이 대통령이 임명할 수 있다.
박종화 (bell@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