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12일 전쟁' 중재안 불구, 공습하려던 이스라엘 향해 "이제 충분" 자제 촉구
나토 정상회의 참석차 출국, "美 유럽과 달라, 국방비 GDP 5%로 증액 못 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나토 정상회의로 향하는 에어포스원 기내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1일(미국 동부 기준) 감행한 이란 핵시설 폭격에 대해 "달도 없고, 빛도 없는 밤에 완벽한 타격을 가했다"라고 말했다. 2025.06.24 ⓒ 로이터=뉴스1 ⓒ News1 류정민 특파원
(워싱턴=뉴스1) 류정민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이스라엘과 이란 간 휴전에 대해 "효과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이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나토)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네덜란드로 향하는 에어포스원(미 대통령 전용기)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긴급 뉴스를 전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아시다시피 철수했고, 오늘 아침 공격하지 않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그들(이스라엘)은 많은 전투기를 출격시켰고, 무언가를 할 계획이었지만 결국 하지 않았다"면서 "우리는 그 점에 대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라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트루스소셜을 통해 이날 자정부터 이란이 먼저 공격을 중단하고, 6시간 후 이스라엘이 공격을 중단한 뒤 24시간이 지난 뒤 25일부터 전쟁 종료를 선언하는 내용의 휴전안에 이스라엘과 이란이 완전히 합의했다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는 지난 13일 이스라엘의 대(對)이란 공습으로 시작된 두 국가 간 전쟁을 '12일 전쟁'(THE 12 DAY WAR)라고 명명하면서 "휴전 기간 평화롭고 존중하는 태도를 유지해야 한다"라고 촉구했다.
비록 공격 중단 시점에 유예기간을 뒀지만, 양측이 휴전안에 합의한 만큼 실질적으로 공격이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게 트럼프 대통령의 기대였지만, 이란은 합의 후에도 미사일 공격을 가했고, 이스라엘은 전투기를 출격시켜 보복하려고 했다.
트럼프는 이날 에어포스원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관련해 대화했느냐'는 질문에 "오늘 아침 이스라엘의 보복이 있을 예정이었지만, '비행기를 돌려보내라. 충분하다'라고 말했다"면서 "그들은 그렇게 했고, 저는 그 결정을 매우 존중한다"라고 답했다.
그는 "이란은 우라늄 농축을 하지 않을 것이며, 핵무기도 갖지 않을 것"이라면서 "그리고 그들은 위대한 무역 국가로 발전하리라는 것을 알고 있다.
트럼프는 "이란은 위대한 무역 국가로 발전할 것"이라면서 "그들은 매우 뛰어난 무역 국가이며, 많은 석유를 보유하고 있다. 재건하고 잘 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루스소셜을 통해 언급한 이란의 '정권 교체'(Regime Change)에 대해서는 "저는 원하지 않는다. 정권 교체는 혼란을 초래한다"면서도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겠다. 이란인들은 매우 뛰어난 상인이며 훌륭한 사업가로 그들은 많은 석유를 보유하고 있다"라고 답했다.
트럼프는 나토 정상회의와 관련, 미국도 국방비를 국내총생산(GDP)의 5%까지 증액해야 한다는 주장에 동의하느냐는 질문에는 "동의하지 않는다"면서 "우리는 다른 국가들이 내는 만큼만 내야 한다"라고 밝혔다.
그는 "유럽 국가들이 내는 돈(나토 방위비 분담금)은 많은 분이 교량이나 도로 재건에 쓰인다"면서 "그 도로나 다리는 중장비를 위해 필요로 하는데, 우리는 유럽에 그런 도로나 다리가 없기 때문에 같은 상황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2024~2025년 회계연도 기준, 미국은 GDP의 약 3.4%를 국방비로 지출하고 있다. 나토 회원국은 현 2% 수준을 겨우 충족하거나 약간 초대하고 있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5% 선까지 유럽 국가들이 방위비를 늘려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나토 정상회담 선언문에 러시아에 대해 공격적인 표현에 대해 동의하겠느냐는 질문에는 "확인해 봐야겠다"면서 "러시아와의 협상을 원한다"라고 답했다.
트럼프는 나토 동맹의 근간인 나토 헌장 5조의 집단 방위 조항의 준수 의지를 묻는 말에는 명확하게 답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의하기에 따라 다르다. 5조에는 여러 정의가 있다면서 "하지만 저는 많은 지도자들과 친구가 되었고, 그들을 돕겠다는 약속을 지키겠다"라고 말했다.
나토 조약 5조는 '회원국 중 한 나라에 대한 무력 공격은 모두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2001년 9·11 테러로 미국이 공격당한 것을 나토 전체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해 집단방위 조항을 발동한 바 있다.
유가와 관련해서는 "어제 거의 (배럴당) 10달러 하락했다"면서 "어제 유가가 내려가게 하기 위해 성명을 (트루스소셜을 통해) 발표했다. 에너지 가격이 하락하면 많은 사람이 일을 할 수 있고, 갈등도 줄어들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전임 조 바이든 전 대통령 행정부 시절 자동 서명 기계인 일명 '오토펜'과 관련, 트럼프는 "바이든은 무능한 대통령이었고,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전혀 몰랐다"면서 "다른 사람들이 오토펜으로 그를 대신해 문서에 서명했고, 이는 심각한 무능"이라고 거듭 주장했다.
24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네덜란드 스히폴 공항에 착륙한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원'에서 내리고 있다. 2025.06.24 ⓒ 로이터=뉴스1 ⓒ News1 김지완 기자
ryupd01@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