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현, 사후 계엄선포 문건 작성 등 경위 확인
김성훈, 체포저지·비화폰 삭제 지시 의혹 물을듯
김주현 전 민정수석이 3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특검 사무실로 출석하고 있다. 2025.7.3/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서울=뉴스1) 이밝음 노선웅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김주현 전 민정수석과 김성훈 전 대통령경호처 차장을 3일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
오는 5일 윤석열 전 대통령 2차 소환 조사를 앞두고 체포저지 혐의와 비상계엄 선포 전 국무회의의 절차적 하자 등 혐의 다지기에 나선 모습이다.
김 전 수석은 이날 오전 9시 45분쯤 조은석 특검팀의 조사실이 마련된 서울고검에 출석하면서 '사후 문건과 관련해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지시받은 게 있나' '강의구 전 부속실장과 어떤 연락을 했나' 등 질문에 "수고 많으시다"라고 답했다.
내란특검은 김 전 수석에게 비상계엄 선포 전후 국무회의 진행 과정, 비상계엄 선포 문건의 사후 작성 후 폐기 경위, 대통령 안전가옥 회동 등을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내란특검은 앞서 강 전 실장에게서 김 전 수석이 비상계엄 선포 이후 "대통령의 국법상 행위는 문서로 해야 하는데 비상계엄 관련 문서가 있나"라고 물어봤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강 전 실장은 관련 조문을 확인한 뒤 뒤늦게 비상계엄 선포 문건을 작성하고 한덕수 전 국무총리에게 서명을 요청했다고 한다. 한 전 총리는 문건에 서명했지만 이후 '사후 문건을 만든 게 알려지면 논란이 될 수 있다'며 폐기를 요청했고 문건은 폐기됐다고 한다.
김 전 수석은 비상계엄 선포 다음 날인 지난해 12월 4일 삼청동 안전가옥 모임에도 참석했다. 당시 안가 모임에는 김 전 수석을 포함해 이완규 법제처장과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등이 참석했는데 이 자리에서 비상계엄 사후 대책을 논의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윤석열 대통령 체포를 방해한 혐의를 받는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이 21일 서울 마포구 서울지방법원에서 열리는 구속 전 피의자 심문에 출석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3.21/뉴스1 ⓒ News1 김도우 기자
내란특검은 체포영장 집행 방해 혐의를 받는 김 전 차장도 불러 조사하고 있다.
김 전 차장은 이날 오전 9시 25분쯤 서울고검에 출석하면서 '체포저지와 관련해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지시를 받았나' , '비화폰 관련 조사를 받으러 왔나' 등 취재진의 질문에 모두 답하지 않았다.
김 전 차장은 지난 1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와 경찰의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한 혐의를 받는다.
비상계엄 이후 군 사령관들과 윤 전 대통령의 비화폰 통화 기록 삭제를 지시했다는 의혹도 있다.
당시 윤 전 대통령은 김 전 차장에게 연락해 "비화폰에 대해서 조치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취지로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을 경호처법상 직권남용 교사 혐의로도 수사하고 있다.
내란특검은 앞서 김 전 차장과 이광우 전 경호본부장 등에 대한 수사 기록을 인계받은 뒤 출국금지 조치했다.
bright@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