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李 대통령 실명 언급·직접 평가한 대남 비난 메시지는 처음
정부, '한반도 평화 공존' 목표 유지하겠다는 입장
![]()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 ⓒ 로이터=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서울=뉴스1) 임여익 기자 =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20일 이재명 대통령을 겨냥해 "역사를 바꿀 위인이 아니다"라면서 정부의 대북정책을 평가절하하고, 앞으로도 한국 정부와 대화할 생각이 없다는 뜻을 재차 강조했다.
이날 김 부부장은 전날인 19일 외무성 주요 국장들과의 협의에서 "한국 정부의 기만적인 '유화 공세'의 본질과 이중적 성격을 신랄히 비판하면서 국가수반(김정은)의 대외정책 구상을 전달포치"했다고 밝혔다.
김 부부장은 "확실히 이재명 정권이 들어앉은 이후 조한(남북)관계의 '개선'을 위해 무엇인가 달라진다는 것을 생색내려고 안간힘을 쓰는 '진지한 노력'을 대뜸 알 수 있다"면서 정부가 한반도 평화를 위해 취한 조치들은 인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우리는 문재인으로부터 윤석열로의 정권 교체 과정은 물론 수십 년간 한국의 더러운 정치체제를 신물이 나도록 목격하고 체험한 사람들"이라면서 "결론을 말한다면 '보수'의 간판을 달든 '민주'의 감투를 쓰든 우리 공화국에 대한 한국의 대결 야망은 추호도 변함이 없이 대물림해 왔다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특히 조현 외교부 장관, 안규백 국방부 장관의 인사청문회에서 있었던 '주적 논란'에 대해 "똑똑히 기억하고 있다"면서, "겉과 속이 다른 서울 당국자들의 이중인격을 투영해 주는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김 부부장은 최근 이 대통령이 광복절 80주년 경축사에서 "북한의 체제를 존중하고 어떠한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한 것을 두고도 한국의 대북정책이 '급선회'하고 있는 듯한 흉내를 내는 것일 뿐이라고 평가절하했다.
이어 "서울에서는 어느 정권 할 것 없이, 또 누구라 할 것 없이 제멋대로 꿈을 꾸고 해몽하고 억측하고 자찬하며 제멋대로 '희망'과 '구상'을 내뱉는 것이 풍토병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라고 조롱하기도 했다.
김 부부장은 한국이 남북관계를 이전처럼 되돌릴 수 없다는 걸 알면서도 '평화'와 '관계 개선'을 추구하는 이유는 남북관계 파탄의 책임을 북한에 넘기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지난 18일부터 한국에서 진행 중인 한미연합훈련 '을지 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실드)를 두고는 "지금 이 시각 우리 공화국의 안전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무모한 미한의 침략전쟁 연습"이라면서 "이재명 정권은 '방어적 훈련'이라는 전임자들의 타령을 그대로 외워대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화해의 손을 내미는 시늉을 하면서도 또다시 벌려놓은 이번 합동군사연습에서 우리의 핵 및 미사일 능력을 조기에 제거하고 공화국 영내로 공격을 확대하는 새 연합작전계획 '작계 5022'을 검토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김 부부장은 "이번 기회에 다시 한번 명백히 하지만 한국은 우리 국가의 외교 상대가 될 수 없다"라고 못 박으면서 "공화국 외무성이 한국의 실체성을 지적한 우리 국가수반의 결론에 입각하여 가장 적대적인 국가와 그의 선동에 귀를 기울이는 국가들과의 관계에 대한 적중한 대응 방안을 잘 모색해야 한다"라고 주문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이재명 정부의 한반도 평화를 위한 선제적 조치들은 일방의 이익이나 누구를 의식한 행보가 아니라 남과 북 모두의 안정과 번영을 위한 것"이라면서, '한반도 평화 공존'이라는 목표를 일관되게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통일부는 지난 광복절 80주년 경축사에서 이 대통령이 밝힌 대북·통일정책을 일관되게 유지할 것이며, '적대와 대결의 시대'를 뒤로 하고 '한반도 평화 공존과 공동 성장의 새 시대'를 반드시 열어 나가겠다는 뜻을 강조했다.
북한이 이 대통령의 실명을 언급하며 이 대통령의 성향을 평가하는 등의 대남 메시지를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인데, 정부는 이에 대한 직접적인 평가는 하지 않은 채 정부의 유화적 대북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도 이날 한반도 평화 새 시대를 향한 의지는 변함이 없다면서도 "북한 당국자가 우리의 진정성 있는 노력을 왜곡해 표현한 것은 유감"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plusyou@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번주 포인트랭킹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