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델 테크놀로지스, 엔터프라이즈 AI 도입 동향 보고서
![]()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엔터프라이즈 AI 역량 조사 결과. 델 테크놀로지스 제공
국내 기업 10곳 중 3곳은 인공지능(AI) 도입 정도나 인식 수준에서 다른 아시아·태평양 기업들을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델 테크놀로지스는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DC에 의뢰해 한국을 포함한 아태 지역의 엔터프라이즈 AI 도입 동향을 심층 분석한 보고서를 19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은 32%의 기업이 이미 AI를 다양한 직무에 도입했거나 AI 역량을 경쟁우위의 핵심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아태 지역 평균인 24%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회사의 AI 역량이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답한 비율은 한국이 26%였다. 아태 지역 평균(31%)보다 낮았다.
보고서는 아태 지역 내 AI 확산으로 관련 서버 시장은 올해 239억달러(약 32조5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에 따르면 아태 지역 기업들은 생성형 AI에 대한 지출을 늘리고 있다. 응답 기업의 84%는 올해 100만∼200만달러(약 13억∼27억원)를 해당 이니셔티브에 할당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생성형 AI 확산 과정에서 기업들이 꼽은 주요 어려움은 IT 비용 증가, 정부 규제, 컴플라이언스 리스크, 지속가능성 요건 충족 등으로 나타났다.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도 주요 관심사였다. 기업들은 외부 솔루션 공급업체가 AI 시스템 보안뿐 아니라 인프라 현대화와 맞춤형 AI 모델 지원까지 제공하는 것을 원했다.
산업별로 은행·금융 분야 응답자의 72%는 향후 18개월 내 생성형 AI가 시장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봤다. 주요 활용 영역으로는 사기 탐지와 자금세탁 방지, 운영 효율성 개선이 꼽혔다. 제조업체의 78%는 AI를, 54%는 생성형 AI를 활용해 공급망 최적화와 예측 유지보수, 품질 관리에 적용했다.
에너지 기업은 83%가 AI를, 73%가 생성형 AI를 도입해 전력망 최적화와 예측 유지보수, 에너지 분배 효율화에 나섰다. 헬스케어 분야에서도 86%가 AI를 활용했다. 59%는 진단·예측 분석·맞춤형 치료 계획을 위해 생성형 AI를 적용했다. 소매업도 AI(82%)와 생성형 AI(63%)를 적극 도입하며 투자를 확대했다.
김경진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 총괄사장은 “한국을 포함한 아태 지역은 AI 도입과 혁신을 선도할 엄청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이제 기업들은 개념 검증(POC)을 넘어 측정 가능한 투자 수익률(ROI) 달성에 집중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임성원 기자 sone@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번주 포인트랭킹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