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의 중금속 노출은 고혈압 발생과 연관되어 있으며, 특히 중금속 복합 노출은 고혈압 발생 위험율을 1.8배 가량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의학연구소 연구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을 통해 중금속과 고혈압의 연관성을 조사했다고 30일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수은 카드뮴에 복합 노출될 경우 단일 중금속 노출에 비해 고혈압 발생 위험을 크게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 중금속 노출에 따른 고혈압의 발생 위험은 사분위 고농도 노출군에서 각각 납 1.45배, 수은 1.29배, 카드뮴 1.61배로 나타났으며, 납, 수은, 카드뮴의 복합 노출은 고혈압 발생 위험을 1.78배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금속은 차량 배출가스, 흡연, 오염된 토양에서 생산된 야채 등 환경오염에 따른 다양한 노출 경로를 통해 인체에 축적되며, 장기간 노출되면 심장질환, 생식기능 장애, 신장질환, 암 등 다양한 질환을 유발한다. 특히 최근 해외에서 수입되는 장난감, 생활용품 등에서 기준치의 수백 배에 달하는 중금속이 검출되어 중금속 노출 위험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김도희 선임연구원은 “현재까지 중금속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단일 중금속에 대한 위험을 평가했지만, 이번 연구는 인공지능(AI기)술에서 사용하는 통계적 기법을 사용해 중금속의 복합 노출에 대한 위험을 조사했다”라고 밝혔다.
연구책임자인 김규상 소장(직업환경의학과 전문의)은 “심장질환과 직접적 요인인 고혈압 발병의 주요한 요인 중 중금속 복합노출도 주요한 요인일 수 있으며, 장기간 노출에 따른 중금속 중독은 건강에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주의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이번 납, 수은, 카드뮴의 중금속 복합노출이 고혈압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결과는 SCI(과학인용색인)급 국제학술지인 ‘국제 직업 의학 및 환경 건강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and Environmental Health)’ 최신호에 게재됐다.
서울의료원 전경. 서울의료원 제공
강민성기자 kms@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